서부는 '가뭄' 동부는 '폭설'...美 이상기후 원인 밝혀졌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1-20 18:25:57
  • -
  • +
  • 인쇄
▲온난화로 지구 평균온도가 1℃ 오를수록 대기 패턴과 강수 패턴이 강화되고 있다. (사진=GIST)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수록 겨울철 대기순환이 변해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 가뭄, 폭우, 한파와 같은 극한 기상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LA 산불이나 뉴욕의 폭설 등이 대표적인 현상이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에너지공학부 윤진호 교수 연구팀은 한-미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기후변화가 겨울철 북반구 대기순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어떤 극한 기상현상이 발생하는지 그 핵심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특정지역에서 가뭄과 폭우같은 극한 기상현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온난화로 인해 대기 순환체계가 바뀌고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겨울철 북반구 날씨는 대기의 대규모 흐름(행성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 행성파는 지구 대기 가운데에서 공통으로 관측되는 띠 모양의 바람과 같은 대규모 풍계를 말한다. 이는 중위도에서 주로 대류권 상층에 일어나는 5000km 이상의 긴 편서풍대의 파장을 말한다.

연구팀은 해수면 온도상승과 북극의 해빙감소가 겨울철 이같은 행성파 흐름을 더 증폭시킬 것으로 예측했다. 그 결과 LA 산불이나 뉴욕 폭설처럼 특정지역에서 극단적인 기상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봤다. 

그렇다면 이런 극단적인 기상현상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가에 연구팀은 주목했다. 이번 연구에서 그 원인이 '적도지역 서태평양의 온난화가 빚어낸 대류시스템 강화'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태평양 일부 구간의 편서풍이 강력해지면서 이 바람을 북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편서풍은 서태평양 적도에서 수증기가 형성되는 응결현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파동)에너지를 북동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파동은 기압골에 영향을 미쳐 고기압과 저기압을 더 극단적으로 만든다. 

여기에 북극 해빙의 감소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북반구 대기 대순환을 더 부채질한다. 북반구 대기 대순환이 증폭되면 비가 자주 오던 지역에는 물폭탄이 쏟아지고 평소 건조했던 기후에서는 가뭄이 심해진다. 이번 LA 산불의 경우도 강해진 서풍이 파동에너지를 미국 서부까지 이동시키면서 극한가뭄이 발생한 결과다.

최근 미국 서부지역에 고기압이 발달해 수개월동안 비가 한방울도 내리지 않았고, 반대로 동부지역은 기압골을 발달시켜 폭설이 내린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미국 서부지역 산불·가뭄과 동부지역의 극심한 폭설·혹한 등 이상기후 현상을 유발한 것이다.

윤진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와 같은 현상이 미래에는 더욱 극심해져 심각한 기후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에 대한 대비를 더 철저하게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기상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 '기후와 대기과학'에 이달 17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신임 대표에 SK E&S 추형욱 대표 선임

SK이노베이션이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에는 장용호 SK(주)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됐다.SK이

"탄소중립 정책, 韓 규제 중심인데 美日은 성장지향형 전략"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규제에 갇혀있는 사이, 미국과 일본은 탄소감축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리나라도 이제 탄소중립을 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SK이노베이션 '탄소저감' 기술 스타트업 10곳 선발

SK이노베이션이 '탄소저감'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10곳을 선발했다.SK이노베이션은 환경기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에그' 5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쿠팡·마켓컬리·SSG, 6월 '녹색소비주간'에 친환경 제품 기획전

쿠팡과 마켓컬리, SSG닷컴이 6월 한달동안 환경부가 인증한 녹색제품을 한데 모아 판매하는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를 위해 환경부는 27일 오후 서울 은평

기후/환경

+

기후변화로 대기 중 '오존 줄이기' 점점 어려워진다

지구온난화로 대기 중 오존을 줄이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연구팀은 기후변화로 인해 북

"차기 5년 평균기온 1.5℃ 넘을 확률 70%"...WMO의 섬뜩한 경고

앞으로 5년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1.5℃ 초과할 확률이 70%로 예측됐다. 또 5년안에 지구 평균기온이 2℃를 넘어설 가능성도 처음으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새 정부에 바란다] "에너지전환 서둘러야 경쟁력 회복 가능"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美 역대 최악의 더위 닥친다...기후취약 도시들 '각자도생'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인력을 대폭 삭감한 올해 전례없는 더위가 닥칠 것이라는 예보다.26일(현지시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