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양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영농용 폐비닐을 미생물을 이용해 28일만에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경상국립대학 연구팀과 함께 영농용 폐비닐을 분해하는 미생물 '아시네코박터 노소코미알리스 GNU001'을 활성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농업용 비닐로 주로 사용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소재는 가공이 쉬워 비닐봉투나 필름 포장지 등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 소재는 너무 얇고 가벼워 재활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자연분해되는데 최소 500~1000년이 걸린다.
연구팀은 양분이 풍부한 곳에서 미생물을 대량 배양해 세포 밀도를 높인 다음 저밀도폴리에틸렌에 대한 분해력을 실험했고, 그 결과 단 28일만에 LDPE 필름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학술적으로 보고된 미생물 분해 시간은 45~120일로 이를 크게 앞당긴 셈이다.
농진청은 이 기술을 기반으로 폐플라스틱 저감과 새활용(업사이클링) 연구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김상범 농진청 농업미생물과장은 "이번 연구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큰 영농 폐비닐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적 기반을 확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농업부산물 처리와 자원화 기술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생물학 및 생명공학 응용'(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에 실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