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오는 27일부터 검색과 플레이스 그리고 숏텐츠에도 'AI브리핑' 기능을 적용한다.
네이버는 인공지능(AI) 검색서비스 '큐'(Cue:)를 발전시킨 'AI 브리핑'을 지난 12일 네이버 쇼핑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적용시킨데 이어, 오는 27일부터 검색과 플레이스 영역에도 적용시킨다고 24일 밝혔다. 앞으로 모든 서비스에 이 기능을 접목시킬 계획이다.
'숏텐츠'도 AI 브리핑 기능이 접목되면서 추천된 콘텐츠들을 요약해서 주요 내용을 빠르게 파악한 뒤, 오리지널 콘텐츠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요약정보뿐 아니라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가 관심있을 만한 정보를 분석해 추천해주기도 한다. 사용자가 스포츠·뷰티·여행 등 다양한 주제의 숏텐츠 키워드를 탐색했다면, 스포츠 하이라이트 장면 영상을 모아서 보여주거나, 화제가 되고 있는 상품을 추천, 인기있는 장소 탐색·예약 정보 등을 제공한다.
AI브리핑이 적용된 '네이버 플레이스'는 이용자의 평소 검색 경험을 기반으로 해당 장소에서 이용자가 흥미를 가질만한 콘텐츠들을 추천해준다. 일례로 '교토여행' 등 여행 테마를 검색하면 AI가 이용자들이 자주 찾고 많이 생산된 정보를 요약해주고, 가보면 꼭 먹어야 할 음식, 지역별 문화, 인기 호텔 정보 등을 제공해준다. 이어 답변 하단에 계절성, 시의성을 반영한 테마별 후속 질문을 제공해 정보를 찾는 시간을 단축해주면서도 취향에 맞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해준다.
네이버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기존 AI 기반 검색 엔진은 대부분 영어에 최적화된 환경이기 때문에 한국어로 검색하면 검색 품질이 다소 불안정하다는 한계가 있다"며 "AI 브리핑은 네이버의 한국어 특화형 LLM(거대언어모델)을 적용하고, 네이버의 다양한 콘텐츠로부터 정보를 취합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연내 다양한 질의에서 AI 브리핑 노출을 확대해 가는 한편, 이미지 검색을 통한 멀티모달 서비스 도입, 영어 및 일본어 등 다국어 서비스 지원 등 새로운 기능들도 순차적으로 선보여 기술적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새로운 AI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꾸준히 고도화 할 계획이다.
네이버 김광현 검색·데이터 플랫폼 부문장은 "AI 브리핑을 시작으로 네이버 검색은 오랜 검색 서비스 경험과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풍부한 콘텐츠로의 연결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방향으로 더욱 고도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