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11곳에서 발생했던 크고작은 산불이 27일 오후 비가 내리면서 진화에 큰 도움이 됐다. 6일동안 이어졌던 울주 산불은 완전히 진화됐고, 의성과 안동도 불이 크게 번지지 않으면서 진화율을 높였다.
사망자는 1명 더 늘어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27일 오후 8시 기준 경북에서 사망자가 1명 더 확인돼 전체 사망자수가 28명으로 증가했다. 중상은 8명, 경상 24명으로 전체 인명피해 규모는 60명이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사망 24명·중상 3명·경상 18명이다. 경남은 사망 4명·중상 5명·경상 4명 등 13명으로, 울산은 경상 2명이다.
지난 22일 울산 울주군 온양읍에서 발생한 산불은 27일 오후 8시 40분을 기해 진화율 100%를 달성했다. 이 산불의 피해 면적은 931헥타르(㏊)로 추산된다. 축구장 1304개 크기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은 안동을 거쳐 영양과 청송, 영덕 등으로 번지면서 사상 최대의 피해를 낳은 의성 산불은 지난 27일 오후에 내린 비의 도움을 받아 진화율을 95%로 끌어올렸다. 28일 산림청에 따르면 의성지역 화선 277㎞ 중 263㎞의 진화가 완료됐다. 의성의 산불영향 구역은 1만2821㏊이다.
전날 내린 비로 인해 산불이 더이상 확산되지 않아 안동 진화율은 28일 오전 5시 기준 85%를 보였고, 청송 진화율은 89%까지 높아졌다. 영양은 76%, 영덕은 65%의 진화율을 보였다. 이에 소방당국은 날이 밝자마자 헬기를 집중 투입해 주불잡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지난 21일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은 8일째에도 불길을 잡지 못했다. 진화율은 27일 오후 7시 기준 진화율 81%를 보였다. 산불영향구역은 1740㏊다. 산청지역도 전날 비가 내렸지만 워낙 찔끔 내려서 산불진화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던 탓이다.
산림청은 습도가 높고 약간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된 28일 오전 총력을 다해 산불을 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직도 더딘 진화율을 보이는 영덕을 비롯해 동해안에 이날 오전중 5mm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잠잠했던 바람이 이날 오후부터 초속 15m 내외로 불어올 것으로 예보돼 있어 불씨가 되살아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산불의 피해면적은 현재까지 약 3만8665㏊로 집계됐다. 산불 이재민은 27일 오후 7시 기준 3만7829명이고, 이 가운데 8536명은 아직 집에 돌아가지 못했다. 시설물 피해도 늘어 주택, 공장, 창고, 사찰, 문화재 등 2639곳이 피해를 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