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리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북만주 주름잡던 항일단체 '신민부' 어쩌다 와해됐나
'신민부'(新民府)는 1925년 북만주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항일운동을 하기 위해 결성된 독립운동단체다. 대한독립군단과 대한독립군정서를 주축으로 구성된 신민부가 '북로군정서(대한군정서)의 후신'이며, 대종교를 계승한 단체라는 것은 독립운동가 정화암(1896~1981), ...2021-12-25 08:00:03 [뉴스트리]

thumbimg

대종교와 독립운동에 일평생을 바친 '보본 엄주천'
'보본'(普本) 엄주천(嚴柱天) 선생의 이름은 본명이 아니다. 본관이 영월(寧越)인 그의 원래 이름은 엄주동이다. 엄주천은 대종교의 나철 대종사가 내려준 교명이다. 엄주천 선생은 1897년 5월 23일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591번지에서 아버지 엄재영과 어머니 ...2021-12-18 08:01:01 [뉴스트리]

thumbimg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민족시인 '이상화'
일제강점기에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은 민족시를 발표해 민족정신을 드높인 이상화는 아버지 이시우와 어머니 김신자 사이에서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이고, 호는 무량·상화·백아를 두루 사용했다. 7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2021-12-11 08:00:06 [뉴스트리]

thumbimg

한국 양의학의 선구자이자 독립투사 '김교준'
'내원 김교준(金敎準) 선생은 한국 근대 양의학의 선구자이자, 대종교 지도자다. 그는 1884년 4월 6일 박동의 자택에서 공조판서와 사헌부 대사헌, 홍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한 김창희의 넷째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대사헌과 예조판서를 지낸 김정집으로, 조선후기 대표...2021-12-04 08:08:01 [뉴스트리]

thumbimg

일제강점기 '말모이' 주도했던 한글학자 '이극로'
영화 '말모이'는 1940년대 경성을 배경으로, 일제의 감시를 피해 우리 말과 글을 지켜내기 위해 주시경 선생 사망 후 중단된 우리말 사전을 만들어가는 내용이다. 당시는 우리말이 금지된 일제 강점기였다. 영화는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윤계상 분)이 중심이 돼 우리 말...2021-11-27 09:01:02 [뉴스트리]

thumbimg

임시정부의 외교책임자였던 '남파 박찬익'
1884년 파주에서 출생한 남파(南坡) 박찬익 선생은 1904년 관립상공학교에 재학중 국권회복을 모의하다 발각돼 퇴학당했다. 이후 1907년에 조직된 비밀결사대 신민회에 가입해 활동했다. 박호원과 서부지방을 순례하면서 교육운동의 필요성을 통감하고 야학을 조직했다. 그...2021-11-13 08:00:04 [뉴스트리]

thumbimg

[공고] 뉴스트리 '채용연계형' 인턴기자 모집
환경과 사회 그리고 사람을 생각하는 인터넷언론 [뉴스;트리]가 미래를 함께 열어갈 참신한 기자를 모집합니다.모집분야는 취재와 영상부문이며, 모집기간은 11월 10일(수)~17일(수) 오후 8시까지입니다. 취재분야는 이력서 자기소개서와 함께 토익이나 토플 등 영어 공인성...2021-11-08 11:50:05 [뉴스트리]

thumbimg

대한민국의 뿌리 '개천절'이 건국절이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대한민국 헌법 전문이다.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나와있다. 임시정부의 국경일이자 현재 대통령이 참석...2021-11-06 08:03:01 [뉴스트리]

thumbimg

한글 띄어쓰기 만든 한글학자 '주산 신명균'
'주산(珠汕) 신명균' 선생은 한말과 일제 강점기 시절 한글연구와 보급에 앞장선 민족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였다. 1889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한 그는 1911년 주시경 선생을 만나 조선어강습원에 들어가면서 한글학자로서의 길을 걷게 됐다. 권덕규, 김두봉...2021-10-29 17:22:02 [뉴스트리]

thumbimg

'한글이 목숨' 한글로 독립투쟁한 '외솔 최현배'
외솔 최현배 선생은 1894년 경상도 울산도호부 내상면 동동리에서 최병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병영성 내부에서 어린시절을 보내다가 상경해 경성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학교)에 입학했다. 학생시절 한힌샘 주시경을 처음 만나 조선어학강습원에서 국어학 및 문법 등을 ...2021-10-23 08:01:01 [뉴스트리]

thumbimg

독립운동에 전재산 바친 명문가 부잣집 아들 '이시영'
성재(省齋) 이시영 선생은 이조판서 이유승의 여섯아들 가운데 다섯째로 1869년 12월 서울에서 태어나 1953년 85세의 일기로 돌아가셨다. 국권이 위협받던 시기에 고위관리로서 국권을 지키는 노력을 했고, 국권을 빼앗긴 시기에는 독립투쟁을 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2021-10-16 08:04:02 [뉴스트리]

thumbimg

천대받던 우리글 '한글'로 명명한 주시경 선생
올해로 575돌을 맞은 10월 9일 '한글날'.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셨지만 '한글'이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바로 한힌샘 '주시경' 선생이다. 일제강점기에 대종교인들이 나라를 되찾고자 무력항쟁을 펼치던 때, 주시경 선생은 '언문'으로 불리며 천대받던 우리글에 처음...2021-10-09 08:04:02 [뉴스트리]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포장재 종이로 교체 'ESG 강화'

이번 추석 선물세트 시장에서 현대백화점은 과일세트 포장을 100% 종이로 전환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현대백화점은 기존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K-컬쳐 뿌리 '국중박' 하이브와 손잡고 글로벌로 '뮷즈' 확장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반려호랑이 '더피'의 굿즈를 판다는 소문이 나면서 전세계에서 가장 핫해진 국립중앙박물관이 방탄소년단(BTS)의 하

하나은행, 美글로벌파이낸스 선정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 수상

하나은행은 미국의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지(誌)'로부터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Best Sub-Custodian Bank in Korea 2025)'으로 선

LG생활건강, 청년기후환경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 활동 성료

LG생활건강이 자사의 청년기후환경활동가 육성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YOUTH)'가 2025년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지

쏟아지는 추석선물세트...플라스틱·스티로폼 포장 '여전하네'

추석을 맞아 다양한 선물세트가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대를 장식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는 선물세트들

쿠팡 '납치광고' 반복한 파트너사 10곳 형사고소...수익금 몰수

쿠팡이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쿠팡사이트로 이동시키는 이른바 '납치광고'를 해온 악성파트너사 10곳에 대해 형사고소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납

기후/환경

+

수도권 대체매립지 4차만에 2곳 응모...기초지자체 합의가 '변수'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에 민간 2곳이 응모했다.기후에너지환경부와 경기도, 서울시, 인천시는 10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된 대체 매립지

英 개도국 폐플라스틱 수출 84% '껑충'...재활용 산업 '뒷걸음'

영국 정부가 매년 60만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방치하면서 자국 내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규모를 쪼그라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불의 고리' 이틀만에 또...필리핀 규모 7 강진에 쓰나미 경보까지

'불의 고리'에서 연속적으로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 8일 대만 화롄 지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데 이어, 10일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해안

발암물질 PVC로 포장금지 5년...생고기 포장 여전히 랩으로 '둘둘'

사용이 금지된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을 포장재로 이용하는 사례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국민의힘) 의원이 지

지난해 국내은행 탄소배출량 1.52억톤...목표치 '미달'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온실가스 감축규모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원이 지난 8일 한국은

[주말날씨] 가을 장마인가?...주말내내 '비소식'

추석 연휴 내내 오락가락 하던 비는 이번 주말에도 이어지겠다.비는 수도권과 강원 그리고 충청권을 중심으로 10일부터 토요일인 11일까지 이어지겠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