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린' 저작권료가 내 통장에…저작권도 주식처럼 투자를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5-02 08:31:59
  • -
  • +
  • 인쇄
뮤직카우 등 음악 저작권 거래 플랫폼 '관심'
저작권 주식처럼 분할해 개인들이 투자

"요즘 저작권료로 노후 준비 하고 있습니다"

30대 직장인 A씨는 좋아하는 노래를 감상만 할 뿐, 취미로 작사나 작곡 등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매달 저작권료가 통장에 들어온다. A씨가 음악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액도 적지 않다. A씨는 "저작권에 투자를 시작한 이후부터 꾸준하게 연 8~9%의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자랑했다.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음악 저작권 투자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그들은 단순히 좋아하는 가수의 노래라서 '내 곡'이라 부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 노래의 소유주로서 '내 곡'이라 부르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개인들이 음악 저작권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거래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뮤직카우, 위프렉스, 위엑스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뮤직카우가 가장 대표업체로 꼽힌다.

뮤직카우는 자체 개발한 저작권료 예측 시스템을 통해 곡의 가치를 산정해 원저작권자에게 저작권을 매입한다. 그 저작권을 플랫폼을 통해 주식처럼 작게 분할해 옥션으로 매수하고, 옥션 마감 후 상승분의 50%를 원저작권자에게 추가로 전달한다. 낙찰 이후 저작권료를 받거나 자유롭게 거래도 가능하다. 노래의 인기가 높아지면 저작권 거래 가격도 함께 높아져 배당 수익도 높아진다.

A씨가 보유한 곡은 15곡 정도로 저작권 투자에 적극적이다. A씨는 "부동산·주식 등과 같은 투자는 너무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졌다"면서 "그러나 음악은 제가 좋아하는 분야면서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명확한 투자 전략도 있다. A씨는 "한 곡에 집중하기보다는 여러 곡에 분산투자해서 리스크를 줄이려고 한다"면서 "스테디셀러 곡 위주로 매입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투자자 B씨는 "저작권 투자는 좋아하는 가수를 조금 더 가까이서 응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B씨는 "좋아하는 가수의 곡 저작권을 공유하면서 '내 가수는 내가 지킨다'라는 마음으로 노래를 듣는다"고 말했다.

뮤직카우에 따르면 지난해 뮤직카우 저작권 투자자들의 평균 저작권료 수익률은 구매가 대비 연 8.7%로 집계됐다. 현재 회원수는 35만명으로 전년도 대비 뮤직카우 이용자 수는 438%, 거래규모는 368% 증가했다.

현재 뮤직카우는 5000곡 정도의 권리를 확보하고 있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3년여 밖에 되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매물이 다소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최근 세계적으로 뜨거운 K-pop의 인기와 저작권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다양한 협업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기후/환경

+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호주 2300km 산호군락지 '하얗게 변색'...해양폭염으로 역대급 피해

올초부터 이어진 해양폭염으로 호주 전역의 산호초가 백화현상을 겪고 있는 가운데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는 관측 이래 가장 심각한 산호 감소가 확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