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러 갔다가 되레 병원신세…'무자격' 헬스트레이너 수두룩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5-24 10:54:05
  • -
  • +
  • 인쇄
허술한 관련법이 무자격 트레이너 양산
트레이너로 인한 부상피해는 회원들 몫

40대 직장인 A씨는 최근 체력이 많이 떨어진 것같아 집 앞 헬스장에서 개인트레이닝(PT)을 시작했다. 그러나 체력이 좋아지기는커녕 오히려 재활병원에 다니며 치료를 받고 있다.

A씨는 "운동 중 허리통증을 느껴 트레이너에게 말했지만 그게 운동이 되는 거라면서 계속 운동할 것을 권했다"고 말했다. A씨는 트레이너의 말만 믿고 통증을 참은 채 운동을 계속하다가 결국 허리부상을 당한 것이다.

알고보니 A씨의 트레이너는 체육지도자 자격증도 없이 대회출전 경험만 있는 '무자격 트레이너'였다. 이처럼 지도자 자격증이 없는 트레이너들로 인한 피해사례가 늘자 일각에서는 트레이너의 채용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어떻게 체육지도자 자격증이 없는 트레이너들이 회원들을 지도할 수 있을까? 이유는 체육시설 체육지도자 배치기준에 있었다.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르면 '체력단련장업의 운동전용면적 300제곱미터(㎡) 이하는 1명 이상의 체육지도자를 배치해야 하고 300㎡ 이상은 2명 이상의 체육지도자를 배치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관계자는 24일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300㎡가 넘는 헬스장에 체육지도자가 2명 이상만 있다면 나머지 트레이너들은 자격증이 없어도 회원들을 지도할 수 있다"며 "체육지도자 관리하에 강습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헬스장에 체육지도자 자격증을 가진 트레이너 2명만 있으면 다른 트레이너들은 자격증이 없어도 회원들을 지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헬스장 운영자들도 지도자 자격증을 모두 갖춘 트레이너들을 고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헬스장을 운영하는 B씨는 "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고용하면 안전성이나 지도 측면에서 좋지만 국가자격증을 가진 트레이너들이 많이 없다"며 "대부분 사단법인 자격증을 갖고 있고 국가자격증을 따려고 하지 않는다"며 현재 상황을 전했다.

국가 체육지도자 자격증 시험은 1년에 한번 치르고 과정도 복잡하다. 그러나 사단법인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은 일정금액만 지불하면 비교적 쉽게 취득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국가자격증이 아닌 사단법인 자격증만 취득해서 트레이너를 시작하는 것이다.

B씨는 "번듯한 이름의 자격증을 돈만 내면 쉽게 받을 수 있는데 누가 어려운 국가자격증을 따려고 하겠는가"고 반문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국가 체육지도자 자격증을 필수요건으로 하는 등 기준법령부터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생활체육지도자 2급 자격증을 보유한 7년차 트레이너 C씨는 "그동안 트레이너라는 직업을 쉽게 생각하고 무자격으로 일을 시작한 어린 트레이너들을 너무 많이 봤다"며 "유튜브 등 인터넷을 통해 배운 짧은 지식으로 회원들을 가르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마다 다른 신체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방법으로 회원들을 가르치면 부상 당하기 십상이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인데도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관련제도를 개선할 계획은 없다"며 "체육지도자 자격증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게 되면 업계에게는 부담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그런 부분을 감안해서 균형적으로 판단하고 검토해야 될 사항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무자격 트레이너'들에 대한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몫인 셈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