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를 농사에 이용한다고?..."해충도 죽이고 수확량도 늘리고"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8-18 14:38:01
  • -
  • +
  • 인쇄
▲ 남태평양 피지에서는 최소 6종의 식물을 재배하고 기르는 개미가 발견됐다.(사진=Ludwig Maximilians University at Munchen)


개미를 이용한 농법이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환경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수확량도 더 늘리는 것으로 연구됐다.

17일(현지시간) '왕립학회B(Proceedings of Royal Society B)' 학술지에는 작물재배에 개미를 활용하면 살충제보다 높은 효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개미의 작물생산 기여를 검토한 결과 개미는 해충을 죽이고 식물 피해를 줄이며 농작물 수확량을 늘리는 데 더 뛰어나다는 것이다.

개미는 일반적으로 농작물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해충을 사냥하는 포식자다. 따라서 개미의 다양성이 높아지면 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 범위도 더 넓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논문에서 연구팀은 "적절한 관리가 있다면 개미는 해충 방제 및 농작물 수확량 증대에까지 유용할 수 있다"며 "일부 개미 종은 더 낮은 비용으로 살충제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효능을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 호주, 영국, 브라질 등의 국가에서 감귤류, 망고, 사과, 콩을 포함한 17개의 작물 및 나무개미 등 개미 26종을 조사하고 개미를 제거한 식물군과 그렇지 않은 식물군을 비교했다.

그 결과 개미의 유무에 따른 식물군의 변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혼농임업(임업을 겸한 농업)과 그늘경작(농작물 주변에 키 큰 식물을 이용해 그늘을 조성하는 재배법) 등 다양한 농업체계일수록 개미의 효용성이 크게 발휘되는 것으로 관찰됐다. 개미를 위한 서식지 및 식량자원이 보다 풍부하기 때문이다.

디에고 안조스(Diego Anjos) 브라질 우베를란지아(Uberlândia)연방대학 박사는 "농업체계에서 개미를 활용해 생물학적 방제 및 지속가능한 관행을 기대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개미는 지구상 곤충 생물량의 절반을 차지하며 다른 어떤 곤충보다도 많은 수를 자랑한다. 알려진 개미종만 1만4000종이며, 발견되지 않은 개미종은 더 많을 가능성도 있다. 이미 중국의 감귤재배업자들은 수세기 동안 개미를 농사에 사용했으며 개미들은 캐나다의 산림해충, 가나의 코코아해충, 나이지리아의 농작물해충을 통제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남태평양 피지(Fiji)에서는 상호공생관계로 최소 6종의 식물을 재배하고 기르는 개미가 발견됐다.

패트릭 밀리건(Patrick Milligan) 미국 네바다대학 프링글연구소 박사는 "생태계와 농업 전반에 걸쳐 어디에나 있는 개미는 본질적으로 이웃 곤충군집에 피해를 주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작물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담 하트(Adam Hart) 영국 글로스터셔대학 교수도 개미가 해충 방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다만 개미는 농업에 이득만을 주지 않아 긍정적 효과의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특히 벚나무깍지벌레, 진딧물, 가루이(whitefly) 등 감로(단물)를 만드는 해충은 오히려 개미가 있을 때 개체수가 더 늘어난다. 이는 개미들이 단물을 섭취하기 위해 이 해충들을 소위 가축처럼 사육하며 포식자들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팀은 당분의 대체공급원 제공과 같은 자연친화적 관리로 해충과의 공생관계를 방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개미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단물을 생산하지 않는 다른 해충의 수를 계속해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하트 교수는 "개미군락을 경작지로 옮기고 늘리는 것이 농업에 유익할 수 있지만 모든 개미 및 농작물이 그런 것은 아니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개미가 해충 및 기타 유기체와 상호작용하는 미세한 방식을 잘 이해하는 일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ESG펀드' 수익률, ESG점수 높을수록 위험조정 효과 우수

ESG 점수가 높은 펀드일수록 국내외 불확실성에도 위험 조정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13일 발표한 보

우리은행,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활동

우리은행이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우리은행의 직원 사회공헌 커뮤니티 'WOORI 가족봉사단' 은 지난 10일 인천 을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만㎡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기후/환경

+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절약하면 현금 주는데도...'탄소중립포인트' 이용률 고작 29%

국내에서 친환경 소비촉진을 위한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 이용률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13일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성인 소비자 32

'바나나 재배지' 기후변화로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

2080년까지 기후위기로 바나나 재배지 가운데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자선단체 크리스천에이드가 12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