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해 벌써 벚꽃 '활짝'...102년 관측이래 가장 빨라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1 16:33:48
  • -
  • +
  • 인쇄
포근한 날씨에 평년보다 6일~9일 일찍
온난화로 북반구 식물 개화시기 빨라져
▲부산 동래구 온천천 시민공원에 활짝 핀 벚꽃 (사진=연합뉴스)

낮 최고기온이 16도를 넘는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남부지방의 벚꽃들이 예년보다 일찍 개화하고 있다.

부산지역의 관측 표준목인 부산 중구 대청동 1가에 있는 기상관측소 벚나무는 지난 19일 개화했다. 이는 평년보다 개화시기가 9일가량 앞당겨진 것으로, 관측을 시작한 1921년 이후 102년만에 가장 빠르게 핀 것이다.

부산 남천동 벚꽃 군락지 역시 예년보다 이른 20일 개화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6일 빠른 것으로, 2011년 관측 시작 이후 최근 10년 평균보다 2일 이른 것이다. 남천동 벚꽃 군락지의 공식 개화는 남천2동 행정복지센터 앞 벚나무 5그루를 기준으로 삼는다.

한 나무의 한 가지에서 세송이 이상의 꽃이 활짝 피었을 때를 개화로 본다. 부산기상청은 이달 기온이 평년보다 3도가량 높고, 일조 시간도 18시간가량 길어 개화 시기가 당겨진 것으로 분석했다.

국내 최대 벚꽃축제 지역으로 유명한 경남 창원시 진해의 벚꽃도 21일 활짝 개화했다. 이는 평년보다 개화시기가 1주일가량 빨리 핀 것이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지난 2021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활엽수 개화시기는 최근 10년간 13일 빨라졌다. 식물 계절변화는 온도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개엽의 경우는 봄철 평균기온이 1도 올라가면 3.6일 빨라지고, 단풍은 가을철 평균기온이 1도 올라가면 1.5일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북반구의 봄이 일찍 찾아오면서 식물의 개화시기도 빨라질 뿐만 아니라 새들도 둥지를 틀고 알을 낳는 시기가 한달가량 앞당겨지고 있는 것으로 미국 연구진의 조사에서 확인된 바 있다. 새들은 봄철 싹이 트고 곤충 수가 증가하는 등 먹이양이 증가하는 시기를 보고 둥지를 튼다.

20일(현지시간)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발표한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이라고 할 수 있는 1850~1900년보다 1.09℃ 올라갔고, 각 국가의 목표대로 탄소감축을 이행한다고 해도 2100년에 이르면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이 2.8℃(2.1~3.4℃)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