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경보...충남서도 작은빨간집모기 첫 발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7-28 10:41:59
  • -
  • +
  • 인쇄
▲질병관리청이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한 27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연구원들이 모기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올해 충남에서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됐다고 28일 밝혔다.

이 모기는 서산지역에 설치한 채집망에서 확인됐다. 지난해보다 2주가량 빨리 발견된 것이다.

앞서 27일 질병관리청은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고 예방수칙 준수와 대상자의 예방접종 참여를 당부했다.

이미 지난 26일 부산에서는 채집된 모기의 91.4%가 작은빨간집모기인 것으로 확인됐다. 충북, 경북, 전북 등의 지역에서도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됐다.

작은빨간집모기는 크기 4.5mm에 암갈색을 띠며 주둥이 가운데에 넓은 백색 띠가 있다. 논이나 물웅덩이, 축사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동물과 사람 몸에 붙어 흡혈한다.

일반적으로 작은빨간집모기는 6월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7~9월 증가하고 10월 말까지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된다.

일본뇌염은 바이러스성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국내에서 최근 5년간 연평균 18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주로 9~10월 사이에 감염사례가 집중되고 감염자의 87%가 50대 이상이다.

대부분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에 그치지만 250명 중 1명은 급성 뇌염으로 진행돼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 가운데 20∼30%가 사망할 수 있다.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인지장애, 마비·운동장애, 언어장애, 발작, 정신장애 등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일본뇌염은 아직까지 치료제가 나오진 않았으나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2010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이 권고된다.

김옥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일본뇌염은 아직 적절한 치료제가 없다"며 "각 가정에서는 방충망이나 모기장을 사용하고, 야간에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