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점검]'기후정부' 출범했는데...광역지자체 '무늬만 탄소중립' 수두룩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6 08:00:03
  • -
  • +
  • 인쇄
[17개 광역지자체 탄소중립계획 살펴보니 ①]
전북과 경북 등은 이행수단과 평가체계 없어

우리나라가 '2050 탄소중립' 실현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목표와 계획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에 본지는 각 지자체별로 온실가스 배출 실태와 이를 감축하기 위한 이행계획과 수단 등을 점검하기 위해 △건축물 에너지 △교통 및 운송수단 △친환경 교통정책 △재생에너지 지원 사업 △자원순환 △녹지확충 등을 중심으로 17개 지자체의 정책실태를 짚어본다. [편집자주]

▲AI로 생성된 이미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들은 모두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이 가운데 구체적인 감축 계획과 실행 수단을 마련한 곳은 절반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5월 17개 시도가 2023~2027년 탄소중립 계획을 담아 환경부에 제출한 '제1차 시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르면 지역에 따라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계획은 큰 편차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 충청남도는 전국 최초로 석탄화력 감축을 전제로 한 독자 계획을 수립했고, 제주특별자치도는 2050 탄소중립과 연계해 '카본프리 아일랜드(Carbon Free Island) 2030'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반면,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경상북도는 감축 목표와 부문별 전략을 명시했지만, 이행 수단이나 평가 체계가 뒷받침되지 않아 실행 가능성 측면에서는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충남 '최다' 제주 '최저'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의 '2022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르면, 전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약 1억1800만톤을 배출하는 충청남도다. 이는 전국 배출량 7억2429만톤의 16.3%를 차지한다. 충청남도의 배출량이 많은 이유는 당진과 태안, 보령 등에 대규모 석탄화력발전소가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지역은 8770만톤을 배출하는 경기도다. 경상북도(5480만톤)와 전라남도(5180만톤), 울산광역시(5050만톤)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이 상위 5개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모두 합치면 전국 배출량의 약 50%가 넘는다.

반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적은 지역은 광주광역시(530만톤), 제주특별자치도(450만톤), 세종특별자치시(300만톤) 순이다.

1인당 배출량은 울산광역시가 약 42톤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시와 광주시가 각각 약 2톤과 3톤 수준으로 나타났다.

◇ 탄소감축 실행계획 지역별로 '극과극'

석탄화력발전소가 가장 많은 충청남도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중간목표로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40% 감축할 계획으로, 산업과 농수축산 등 8개 부문에서 총 24개 과제와 114개 세부계획을 마련했다.

실제로 충청남도는 지난 한해동안 137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이는 연간 감축목표의 105.8%를 달성한 것이다. 건물 부문에서 21만6000톤(118.7%)으로 가장 많이 감축했고, 수송 부문에서 3만3000톤(103.1%)을 줄였다. 폐기물 부문에서 11만1000톤(168.1%)을 감축했다.

반면, 전라북도는 감축 목표와 부문별 전략을 명시했지만, 실행계획이 너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여름철 공공기관 에너지 절약 대책으로 실내 온도를 조정하는 것과 엘리베이터 이용 자제 등과 같은 캠페인성 조치에 머무르고 있어 실질적인 감축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것이다. 또 핵심 이행 과제에 대한 연차별 목표나 예산 계획도 제시되지 않아 구조적 전환보다는 단기적 계도 조치에 그친다는 평가다.

국가 차원에서 '2050 탄소중립'이 실현되려면 지방정부의 이행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처럼 지자체별로 탄소중립 계획이 중구난방이거나 구체성이 결여돼 있다면 국가 차원의 이행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이에 다수의 전문가들은 지역의 온실가스 감축이 단순히 수치를 목표로 제기하는 차원을 넘어 부문별 이행계획과 중간점검 체계, 감축실적의 투명한 공개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특히 지역별 상황에 맞춰 정책이 설계되도록 중앙정부의 관리감독이 철저하게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두나무 인수한 네이버...AI와 블록체인 앞세워 '글로벌 금융' 노린다

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가 네이버 품에 안기면서 20조원 규모의 금융플랫폼이 탄생했다. 26일 네이버와 두나무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

'비상경영' 롯데 인적쇄신...부회장 전원 용퇴에 CEO 20명 '물갈이'

롯데그룹이 부회장단 전원 교체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20명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롯데그룹은 2026년 임원인사에서 9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銀, 사회적경제기업 10곳 선정…최대 2000만원 지원

우리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 '임팩트 챌린지' 공모를 시작했다.우리은행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2025년 우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기후/환경

+

플라스틱 문제 일으키는 '조화'...인천가족공원서 반입 금지될듯

인천가족공원에 플라스틱 조화(造花) 반입을 자제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이 추진된다.26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산업경제위원회를 통과한 '인천시

'2.5°C' 상승한 우즈베키스탄…극심한 가뭄에 이미 위기상태

우즈베키스탄 일부 지역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2.5°C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물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