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기후대응 지난해보다 4단계 추락...산유국과 나란히 '사실상 꼴찌'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2-08 18:00:02
  • -
  • +
  • 인쇄
64위는 밑에서 4번째 '매우 저조함' 평가
재생E목표·공적금융·바이오매스가 원인
▲2023년 발표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보다 4계단 하락한 64위로 최하위권에 속했다. 한국보다 더 낮은 평가를 받은 나라는 산유국 3곳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꼴등에 가까운 결과다. (자료=기후솔루션)

한국의 기후대응 순위가 산유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세계 꼴찌 수준이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리고 있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국제 기후평가기관인 저먼워치, 뉴클라이밋연구소, 클라이밋액션네트워크(CAN)가 각국의 기후대응정책을 평가해 8일(현지시간) 공개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보다 4계단 하락한 64위를 기록해 '매우 저조함'으로 평가됐다.

CCPI는 전세계 배출량의 90%를 차지하는 63개국과 유럽연합(EU)의 기후대응을 △온실가스 배출 △재생에너지 △에너지 사용 △기후정책 4가지 부문으로 나눠 평가 순위를 산출했다. 평가 결과, 지난해처럼 올해도 '1.5℃ 목표'에 부합하는 조처를 취한 국가는 단 한곳도 없어 1~3위는 비어있다.

가장 높은 순위인 4위를 차지한 국가는 덴마크다. 한국은 64위를 차지했다. 1~3위가 비어있으니, 64개 평가대상 가운데 끝에서 네번째다. 한국보다 낮은 평가를 받은 국가는 달랑 3곳으로, UAE와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 모두 산유국이다. 산유국들은 기본적으로 화석연료와 이해관계가 깊게 얽혀있으니, 우리나라 기후위기 대응정책이 사실상 전세계에서 꼴찌나 다름없는 셈이다.

한국이 낙제점을 받은 이유는 3가지로 꼽힌다. 우선 지난 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확정한 '제10차 전기수급기본계획'에서 줄어든 재생에너지 목표다. 윤석열 정부는 2030년까지 기존 30.2%였던 재생에너지 목표는 21.6%로 낮췄다. 또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대부분을 또다른 온실가스 배출원인 가스발전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담았다.

둘째로 석유와 가스에 공적금융이 계속 투자되고 있다. 지난 2019~2021년 우리나라 해외 석유 및 가스사업 지출은 71억4000만달러로, 전세계에서 일본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마지막으로 국내 바이오매스 사용률에 대한 지적이다. 산업자원통상부와 산림청의 바이오매스 지원정책에 따라 지난 10년간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량은 42배 폭증했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전과정에서 상당한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산림파괴와 생물다양성 손실로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이행수단이 아니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바이오매스는 태양광이나 육상풍력보다 높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받고 있다.

기후솔루션 김주진 대표는 "한국은 10위를 웃도는 세계 경제 강국인 동시에 세계 7번째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기후위기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해왔다"며 "급격한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면서 기후 의제로도 한국에 거는 국제사회의 기대가 크기 때문에 정부와 국회는 기후위기 대응의 주도적인 역할로 나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돕고, 공적 자금의 화석연료 투자를 끝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공적금융의 역할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7위를 한 인도는 상대적으로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과 에너지소비량이 낮고, 공격적인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중국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크게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석탄발전 의존량이 많고 가스발전도 많이 할 계획하면서 51위로 평가됐다. 중국 다음으로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소법으로 재생에너지 투자를 크게 늘렸지만 모든 부문에서의 기후 친화적 정책이 구체적으로 갖춰지지 못해 5단계 하락한 57위를 기록했다.

석유와 가스 최대 투자국인 일본은 기후대응의 일환으로 녹색전환(GX, Green Transformation) 정책을 도입했지만 탄소포집 및 저장(CCS), 암모니아 혼소 등 기술적 대안을 활용해 화석연료 사용을 연장했다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8단계 내려앉은 58위를 기록했다. 최근 기후정책이 후퇴했다고 평가받는 영국은 지난해 11위에서 9단계 아래인 20위로 추락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활동

우리은행이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우리은행의 직원 사회공헌 커뮤니티 'WOORI 가족봉사단' 은 지난 10일 인천 을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만㎡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기후/환경

+

'바나나 재배지' 기후변화로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

2080년까지 기후위기로 바나나 재배지 가운데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자선단체 크리스천에이드가 12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

척박한 토양 늘어나고 있다...'물부족, 가뭄, 홍수' 초래

토양 악화로 물부족, 가뭄, 홍수 등 기후재난이 더욱 빈번해지고, 토양의 탄소저장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제토양보존 촉구단체 세

EU, 車 탄소배출 규제완화 확정…"전기차 전환 지연 우려"

유럽연합(EU)이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유럽의회는 8일(현지시간)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5년~2027년까지 3년 평균 배출

4월 1.5℃ 또 무너졌다…역대 두번째 더운 4월로 기록

올 4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1℃ 상승해 관측 사상 두번째로 더운 4월로 기록됐다.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

美중부지역 '4일간 비가 내릴 가능성' 40%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미국 중부지역에서 나흘간 연속적으로 비가 내일 가능성이 40% 더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WA)이 9

美 15개 주 '반기'...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명령에 공동소송

미국의 15개 주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비상사태' 행정명령에 반대하며 9일(현지시간) 연방법원에 공동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행정명령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