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환경총회 '삼중 지구위기' 해결할 15개 결의안 채택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05 14:54:07
  • -
  • +
  • 인쇄
유엔환경총회 제6차 회의 주요 참석자들이 결의안 채택 후 손을 들어올리고 있다. (출처=UN 홈페이지)

케냐 나이로비에서 지난 1일(현지시간) 막을 내린 제6차 유엔환경총회(UNEA-6)에서는 '기후변화·자연손실·오염'이라는 삼중 지구위기를 해결할 15개의 결의안이 채택됐다.

2년마다 열리는 UNEA는 국제환경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관련 국제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최대 규모의 국제환경회의로 2012년 열린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Rio+20) 후신이다. 지난달 26일부터 5일간 열린 UNEA-6에는 각국 정상들과 환경장관을 비롯 학계전문가, 기후활동가, 관련업계 대표 등 5600여명이 참석했다.

15개 결의안에는 광물자원, 화학물질 및 폐기물 관리, 무력 분쟁의 영향을 받은 지역의 환경 지원 및 복구, 국내 부문의 통합 수자원 관리, 물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농업 및 산업, 지속 가능한 일상생활, 황폐화된 토지 및 수역의 복구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이번 총회에서 발표된 '2024 글로벌 자원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와 생산을 줄이기 위한 긴급조치가 없다면 올해 천연자원 추출량은 2020년보다 60% 증가할 것이며, 이로 인해 기후피해와 생물다양성 및 인류건강에 대한 위험은 더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글로벌 폐기물 관리 전망 2024' 보고서에서는 "지구 경제를 순환경제로 전환되지 않으면 2050년까지 전세계 폐기물이 65% 이상 증가하고 건강과 경제, 환경에 대한 비용이 2배로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UNEA-6에서는 '다자간 환경협약(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MEA)의 날'이 처음 선포되기도 했다. MEA는 국제 및 지역사회의 가장 시급한 환경 문제에 관한 국제협약을 다루는 회의로, 국제 환경법을 실질적으로 이행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회의에 참석한 각국 환경장관들은 선언문을 통해 "우리는 효과적이고 포용적이며 지속가능한 다자간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기후변화를 늦추고, 생물다양성을 복원 및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오염없는 세상을 만들고, 토양 황폐화, 가뭄 및 산림벌채 문제에 맞서겠다는 뜻을 모았다.

이번 총회에서는 15개 결의안을 비롯해 2개의 장관급 선언을 이끌어냈다. UNEA-6 의장을 맡은 레일라 베날리(Leila Benali) 모로코 에너지전환 및 지속가능한 개발부 장관은 "우리는 이런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새로운 협력관계를 추진해야 한다"며 "시민 및 민간 부분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청소년들에게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잉거 앤더슨(Inger Andersen) UNEA 전무이사는 "여러분들은 탄소중립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금속과 광물 확보에 진전을 이룰 것을 요청했고 전세계가 분쟁을 멈추고 환경보호를 위해 더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며 "UNEP와 회원국들이 화학물질과 대기오염원을 막도록 일하도록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앤더슨 전무는 "우리는 장관급 선언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자연복원, 오염 근절에 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확인했다"며 "이제 UNEP는 환경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삼중 지구위기를 막는 행위자로서의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엔환경총회는 제7차 회의(UNEA-7) 의장으로 압둘라 빈 알리 아므리(Abdullah Bin Ali Amri) 오만 환경장관을 추대했다.

아므리 장관은 의장 수락 연설에서 "우리 시대의 환경 문제에 맞서기 위해 우리가 나아갈 길은 단 하나, 팀워크뿐이다"며 "우리는 같은 태양 아래 하나의 지구를 공유하기 때문에 비밀 탈출구는 없다"고 강조했다. 아므리 차기 의장은 "따라서 우리의 소중한 지구를 지키고 그 아름다운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힘을 합쳐야 한다"며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미래를 확보하기 위한 이 중요한 여정을 함께 시작하자"고 호소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미래세대 위한 친환경 에너지교육 지원 확대

코오롱그룹이 미래세대의 친환경 에너지 교육지원에 적극 나선다. 코오롱은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의 '다함께 나눔프로젝트'에 참여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기후/환경

+

지구 4℃ 상승하면...전세계 인구 40% 빈곤해진다

지구 온도가 4℃ 상승하면 지구 인구의 40%가 빈곤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1일(현지시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 기후위험대응연구소의 티모시

산불 커질만 했네…3월 한반도 기온·풍속 모두 이례적

의성, 안동, 산청 등 영남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빠르게 확산됐던 지난달 우리나라는 이상고온과 이상건조, 이례적 강풍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5℃ 기후목표에 매몰되면 농경지 12.8% 감소할 것"

1.5℃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전세계 정책이 전세계 농경지 면적을 약 12.8% 줄이는 결과를 초래해 식량 위기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