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남극의 두꺼운 빙하 속 지형을 탐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5일 극지연구소는 한국이 주도해 개발한 레이더 기술로 남극에서 3500m 두께의 빙하지형을 탐사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과거 기후가 기록된 빙하는 기후변화 연구의 핵심 자료로 두께 3000m 이상인 빙하에는 최소 150만년 전의 대기정보가 담겨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극지연구소 이주한 박사 연구팀은 미국 앨라배마 대학교와 함께 개발한 심부빙하 투과 레이더로 지난해말 남극 대륙 돔 C지역을 탐사했다. 이 지역은 남극에서 가장 두꺼운 빙하가 있다고 알려진 곳으로 해안가에 있는 장보고과학기지와 약 1300㎞ 떨어져 있다.
기존에 헬기에 사용되던 빙하 레이더와 달리 경비행기에 부착하는 형식으로 개발된 투과 레이더는 탐사반경이 1500㎞로 기존보다 6배 이상 늘어났다. 이번에 레이더로 확인한 빙하의 평균 두께는 3000m에 달했다.
연구팀은 2018년부터 4년간 연구 끝에 최대 4000m 깊이까지 정밀 분석이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탐사에서 기술력이 입증됐는데 빙하층은 물론 빙하 아래 남극 대륙의 구조, 빙저호의 유무까지 확인할 수 있는 시각 데이터를 얻었다.
연구팀은 데이터 분석과 보완 과정을 거쳐 이후 3년간 심부빙하시추 후보지역 선별을 위한 추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심부빙하는 최소 1000m 이상 깊이에 존재하는 빙하로, 이 오래된 빙하를 밖으로 끌어내는 심부빙하시추는 10년 이상이 걸리는 초장기 프로젝트다. 해당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선 정확한 위치 선정이 필요한데, 특히 레이더 탐사는 시추 전 성공률을 높이는 필수작업이다.
이주한 미래기술센터장은 "남극의 빙하는 지구에서 옛날 기후가 가장 촘촘하게 기록된 지구의 사료"라며 "이번 빙하 레이더 탐사의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특별한 여정을 순조롭게 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