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 측 "지질학계 부정해도 이미 대세"
방사능, 플라스틱, 닭뼈로 점철된 새로운 지질시대 '인류세'(Anthropocene)의 공식 도입이 결국 불발됐다.
5일(현지시간) 국제지질학연합(IUG) 산하 제4기 층서 소위원회는 인류세 도입안을 6주동안 논의했지만 반대 66%로 부결했다. 의결 정족수는 찬성 60%였는데 일부 기권표도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상급 회의체인 국제층서위원회가 IUG 규정에 따라 추가 논의를 이어가지 않기로 함에 따라 인류세 도입은 일단 무산됐다.
인류세는 인간활동으로 지층에 현격한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별도의 지질시대로 구분해야 한다는 일부 과학자들의 주장으로 개념화됐다. 실제로 처음 핵실험이 시작된 1945년을 기점으로 방사성동위원소 농도에 큰 변화가 생겨났고, 한 해에만 600억마리의 닭뼈가 땅속에 묻히거나, 에베레스트산 꼭대기부터 마리아나 해구 심해 끝자락까지 플라스틱이 발견되는 등 인간에 의해 지질환경이 급격하게 달라지고 있다.
이에 지질학계는 인류 영향이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는 표본지(국제표준층서구역)를 찾으려고 15년간 공을 들인 뒤 표결에 들어갔다. 인류세 도입 논의를 주도한 인류세 워킹그룹(AWG)은 작년 7월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크로퍼드 호수'를 표본지로 선정했다.
크로퍼드 호수는 밑바닥이 외부 환경과 완전히 차단돼 있고, 위로부터 천천히 가라앉는 침하물만 그대로 퇴적층에 쌓이고 있다. 1952년 수소폭탄 실험부터 1963년 핵실험 금지조약에 이르기까지 플루토늄 낙진의 농도, 화석연료 사용으로 발생한 입자들과 화학용 비료 사용량 증가로 나타나는 질산염 농도의 차이 등 호수의 퇴적층은 연도별 구분이 가능할 정도로 인간활동을 명확하게 기록하고 있다.
다만 소위원회 논의에서 인류세 도입은 성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지구에 미친 영향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핵실험 같은 단기적 사건이 아니라 훨씬 더 오래 서서히 이뤄지는 지질학적 사건이 축적돼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했다.
이번 표결이 가결됐다면 빙하기 이후 1만1700년 동안 이어져온 '홀로세'(Holocene)가 막을 내리고, '신생대 제4기 인류세 크로퍼드절'에 살게 될 예정이었다. 지질시대는 '대-기-세-절'로 구분되는데, 현재 우리는 '신생대 제4기 홀로세 메갈라야절'에 살고 있다.
핵무기 사용을 시작점으로 한 인류세 논의는 중단됐으나 새로운 논의가 막히거나 용어가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소위원회 표결에 참여한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의 킴 코언은 지질시대가 규정되든 말든 인류세는 이미 대세라고 지적했다.
코언은 "이미 인류세가 사람들 입에 붙었다"며 "학술지에서도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지만 지질학계에는 그렇게 많지 않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