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라니냐가 다시 온다고?....전세계 곳곳 이례적 '물난리'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4-11 17:05:18
  • -
  • +
  • 인쇄
▲폭풍우로 인해 침수된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한 마을(사진=AP연합뉴스)

최근 12개월간 지구 평균기온이 임계치인 1.5℃를 넘어서면서 세계 곳곳에서 이례적인 물난리가 잇따르고 있다. 이와 함께 올해 라니냐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날씨가 점점 예측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10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은 미국 루이지애나주에서 발생한 폭풍우로 인해 텍사스, 뉴올리언스 전역의 도로가 침수되고 도시가 정전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립기상청(NWS)에 따르면 뉴올리언스 홀리그로브에는 200㎜, 나인스 워드에 150㎜, 뉴올리언스 동부 호숫가에 180㎜의 비가 쏟아졌다. 몇몇 지역에서는 시간당 50㎜의 폭우가 내리면서 하라한에서 세인트 로치까지 남쪽 해안 주요 도로가 폐쇄되기도 했다. 홍수로 불어난 미시시피강은 급류로 인해 팰리스운하가 범람했고, 주 전역에서 약 13만9000가구가 정전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텍사스 남부에 위치한 한 목장에선 밤 사이 330㎜의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물에 빠진 말들을 구하는 영상이 소셜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될 정도였다. 영상을 보면 말들이 얼굴만 겨우 물밖에 내밀 정도로 수위가 올라가 있는 모습이다.

폭우와 함께 35~49m/s의 강풍까지 몰아치면서 나무가 부러지거나 낡은 아파트의 지붕이 날아갔다. 루이지애나 슬리델의 한 아파트는 통째로 붕괴해 50여명이 고립되기도 했다. 현지경찰은 "다행히 현재까지 경미한 부상자만 나왔고, 사망자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NWS 폭풍예측센터는 "이번 폭풍우는 전형적인 봄철 특유의 날씨가 겹친 탓"이라고 설명했다. 텍사스 서부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강한 저기압과 제트기류로 인해 멕시코만에서 수분이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루이지애나 남서부에서 북동부로 이어지는 강한 뇌우가 형성돼 폭풍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국립기상청 슬라이델사무소 기상학자 숀 오닐은 "(폭풍우가) 굉장히 빠르게 이동했다"면서 "올해는 대서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따뜻한 점과 라니냐 현상 복귀가 예상되면서 허리케인이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라니냐 현상은 동태평양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 낮아지는 현상이다. 라니냐 시기에는 대서양에서 높아진 해수 온도에 따라 허리케인 발생빈도가 높아지기도 한다.

앞서 기후학자들 사이에선 2024년에는 역대급 엘니뇨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으나, 세계기상기구(WMO)의 최근 전망에선 4~6월 엘니뇨가 발생할 확률이 10%에 불과했다. WMO는 "오히려 올해 라니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확률을 제시하기 섣부른 상황이라고 했다.

문제는 이로 인한 피해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러시아 남부 오렌부르크주 오르스크에서는 폭우로 인해 우랄강 댐 일부가 붕괴하면서 홍수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1만2800여채의 집이 물에 잠기고 7700명 이상이 대피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댐이 붕괴할 당시 우랄강 수위는 무려 28㎝나 높아졌다.

비슷한 시기에 러시아 반대편에 위치한 호주 시드니에서도 이틀간 200㎜가 넘는 비가 쏟아지면서 수해가 발생했다. 시드니의 4월 한달 평균 강수량이 121.5㎜인 것을 고려하면 이틀동안 두달치 강수가 쏟아진 셈이다. 이로 인해 와라감바댐이 범람하고 남서부에 흐르는 쿡스강 제방도 무너지면서 도로가 폐쇄됐다. 수해로 4만 가구가 정전 피해를 입었으며 주 전역 11곳에 대피령이 내려졌다.

현재까지 폭우의 직접적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라는 우려섞인 분석이 나오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기후/환경

+

100년 넘은 시설인데 관리예산 '삭둑'...美 오하이오주 댐 '붕괴 위험'

트럼프 정부가 댐 관리인력과 예산을 줄이면서 100년이 넘은 미국 오하이오주 댐들이 붕괴 위험에 처했다. 앞으로 30년동안 1만8000개 주택이 홍수 피해

가자지구 폭격 잔해 처리에서만 온실가스 9만톤 배출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남겨진 가자지구의 잔해를 처리하는데 9만톤 이상의 온실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옥스포드와 에든버러

이란, 50℃ 넘는 폭염에 가뭄까지…물 아끼려고 임시공휴일 지정

이란 당국이 50℃를 넘는 기록적인 폭염과 물 부족 상황에서 국민들에게 물소비 제한령을 내렸다. 일부 지역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임시공휴일

두산에너빌리티, 국내 최초 10MW 해상풍력 국제인증 획득

두산에너빌리티는 자사가 개발한 10메가와트(MW) 해상풍력발전기가 국제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형식인증을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국

햇빛 이용해 탄소배출 없는 '그린 암모니아' 생산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태양광 시스템을 활용해 폐수 속 오염물질을 고부가가치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

기후변화로 美 북동부 폭풍 '노이스터' 위력 17% 증가

지구온난화로 미국 북동부 지역의 폭풍 위력이 증가하고 있다.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의 기후학자 마이클 만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1940년 이후 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