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거부·무력감...'기후불안'이 청년들을 불안하게 만든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8-31 11:08:43
  • -
  • +
  • 인쇄
학구열 저하·출산 거부로 이어지는 '기후불안'
미디어 소비 방식 바꿔 '부정성 편향' 줄여야


기후위기에서 파생한 '기후불안'이 청년들이 극단적인 성향에 빠지도록 내몰고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훔볼트주립대 환경학과 사라 레이(Sarah Ray) 교수는 30일(현지시간) CNBC와의 대담에서 젊은이들이 기후위기로 비롯한 문제에서 정서적 충격을 받는 '기후불안'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며 기후관련 소통방식과 심리학적인 접근에서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레이 교수에 따르면 최근 강의실 내 학생들이 '절박감'에 사로잡혔다. 기후위기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던 과거와 달리 정밀한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되면서 젊은이들은 앞으로 자신들이 가장 큰 손해를 보게될 세대라는 것을 자각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레이 교수는 학생들이 더는 과학기술, 공학, 정치, 법 등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며 강의에서 보내는 시간이 낭비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기후불안은 출산 거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일부 환경운동가들은 그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아이를 갖지 않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최근 젊은이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살기 적합한 미래가 보장되지 않은 세상에 아이를 살게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레이 교수는 이러한 무력감과 절망감이 무대응과 포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다.

다만 레이 교수는 "필요는 창조의 어머니이고, 절박감은 행동의 어머니이기도 하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환경학과 학생들은 기존 연구직뿐 아니라 아동 문학 작가, 선생님 등 당장 많은 사람에게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줄 수 있는 진로로도 관심이 확대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 레이 교수는 현재 미국의 청년 세대가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정치적으로 많은 것을 바꿔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고, 이들은 지난 50년 이래 가장 정치적 연대가 강한 세대라고 분석했다.

레이 교수는 미디어 소비 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며 과학적인 근거자료에 대한 소식은 계속해서 확대하되 현실과 거리가 먼 부정성 편향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세상이 얼마나 나쁜지와 세상이 얼마나 좋은지 둘 다 인식할 수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으로 긍정적인 소식을 접할 필요가 있다. 이는 뉴스와 우리 인식 기저의 부정성과 균형을 맞춰나가는 것이지 현실부정이나 순진함이 아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기후/환경

+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