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음식 많이 먹으면...대변속 미세플라스틱 2배 증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12-23 11:31:43
  • -
  • +
  • 인쇄
염증성 장질환자, 미세플라스틱 양 더 많아
장질환과 미세플라스틱 상관관계 첫 증명

포장음식이나 병입 생수를 많이 먹으면 대변속 미세플라스틱이 2배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미세플라스틱이 사람의 염증성 장질환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도 처음으로 밝혀졌다.

중국 난징대학교 연구팀은 염증성 장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대변에서 정상인보다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50% 더 많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동안 동물의 내장질환과 미세플라스틱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사례는 있었지만, 사람의 내장질환과 미세플라스틱의 잠재적 상관관계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 50명과 염증성 장질환자 52명을 대상으로 대변 샘플을 채취해 대조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건강한 사람의 장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평균 28개가 검출됐고, 염증성 장질환자의 대장에서는 41.8개가 검출됐다. 더 심한 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미세플라스틱과 염증성 장질환의 잠재적 상관관계를 드러낼 수는 있어도, 미세플라스틱이 염증성을 유발한다는 인과성을 완벽하게 입증하는 것은 아니라며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일례로 염증성 장질환이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되도록 유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과 염증성 장질환의 연관관계 외에도 병입 생수나 포장 음식을 많이 섭취할수록 대변 샘플 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2배가량 증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추가로 밝혀냈다. 또 이번에 검출된 플라스틱 재질은 총 15가지였으며, 이 가운데 가장 흔한 재질은 34%를 차지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페트·PET)였다. 폴리아미드(PA)가 12.4%로 뒤를 이었다.

PET와 PA 재질은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식품포장재다. PET는 열적·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해 포장재나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고 있고, PA 재질로 만드는 나일론 필름은 산소투과도가 낮고 내한성과 내핀홀성(필름에 구멍이 잘 나지 않는 성질)이 좋아 냉장식품, 냉동식품, 리필 포장재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염증성 장질환은 동양인에게선 드문 질병이었는데 최근 발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염증성 장질환의 일종인 크론병 환자수가 2010년 1만2234명에서 2019년 2만4133명으로 10년 사이에 2배 늘어난 것이다. 지금 추세로 가면 2025년에 염증성 장질환자의 수가 중국에서만 15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연구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미세플라스틱이 인간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영국 헐요크(Hull York) 의과대학교의 에반겔로스 다노풀로스(Evangelos Danopoulos) 연구원은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우리가 실제로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는 증거"라면서 "사람이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되고 있다는 증거 기반을 확대하는 중요한 연구"라며 관련한 연구범위의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당 연구논문은 22일(현지시간) 미국 화학회지(JACS·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기후/환경

+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