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곤충 시장 '쑥쑥'...롯데제과도 캐나다 기업에 100억 투자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0 17:04:11
  • -
  • +
  • 인쇄
식용곤충, 육류보다 286배 적은 온실가스 배출
국내 식용 곤충 사육농가 6년새 4배 이상 증가
▲아스파이어 푸드그룹이 생산하는 식용곤충 귀뚜라미


롯데제과가 캐나다 식용곤충 푸드테크 기업 '아스파이어 푸드그룹'(Aspire Food Group)에 약 100억원을 투자했다고 10일 밝혔다. 

아스파이어 푸드그룹은 귀뚜라미를 이용해 단백질 분말 제품을 생산하는 곳이다. 이 그룹은 독자적인 귀뚜라미 사육 방식을 개발하고 인공지능(AI)과 지능형 농장 기술을 활용해 무인자동 생산체계를 구축했다. 반려동물 사료, 귀뚜라미 그래놀라, 귀뚜라미 밀가루 등의 원료가 되는 동결 건조 귀뚜라미를 주로 만들고 판매한다.

식용곤충은 미래지향적인 친환경 식재료로 떠오르고 있다. UN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식용곤충은 소·돼지·닭고기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35~77% 가량 더 높다. 또한 식용곤충은 육류와 같은 양의 단백질을 생산할 시 필요한 사료가 △소의 6분의1 △돼지·닭의 2분의1 △양의 4분의1 만큼이다. 

식용곤충은 온실가스 배출도 적다. 세계경제포럼(WEF) 보고서에 의하면 소고기와 식용곤충 생산시 이산화탄소 환산량(CO2eq)은 약 286배 차이난다. 소고기 200kg를 생산할 경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24kg인데 반해 식용곤충 생산시 발생량은 0.7kg이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연구진에 의하면 식품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약 60%가 육류에서 비롯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실제로 네덜란드 바헤닝언(Wageningen)대학교 곤충학 교수 마르셀 디커(Marshall Dicker)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식용곤충이 식용으로서의 효율뿐만이 아니라 식량 생산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고 밝혔다. 디커 교수는 "곤충이 탈바꿈하면서 남기는 허물과 배설물 등이 작물재배 토양에 투입되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더 강하게 만드는 효과를 낸다"고 했다. 곤충의 배설물의 주성분인 질소는 이는 식물의 생육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영양소여서 합성비료에 추가된다. 

국내에서도 식용곤충 관련 활동이 활발하다. 농총진흥청에 의하면 국내 식용 곤충 사육농가는 2016년 460곳에서 지난해 1800여 곳으로 6년새 4배 이상 늘어났다. 전라남도농업기술원도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식용곤충의 고단백질을 활용해 육고기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육 개발에 나서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식품원료로 공식 인정받은 곤충은 10개로 풀무치, 메뚜기, 백강잠, 식용누에(번데기), 갈색거저리 애벌레,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애벌레, 쌍별귀뚜라미, 아메리카 왕거저리 애벌레, 수벌 번데기이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자사는 최근 미래 대체 단백질로 주목받는 식용곤충 사업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며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아스파이어 푸드그룹과 기술 제휴, 상품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