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 조성과정 복제해서 복원·번성시켜야
습지는 지구 표면의 1%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지구 이산화탄소의 20% 이상을 저장하는 '탄소저장고'로 밝혀지면서 습지보호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6일(현지시간) 네덜란드·미국·독일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탄소포집 데이터를 종합분석했더니 바다와 숲에 이어 습지가 세계 세번째로 꼽히는 '이산화탄소 저장고'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연구결과, 습지가 1평방미터당 이산화탄소(CO2) 저장량이 가장 높아, 지구상에서 가장 효율적인 '탄소저장고'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의 제1저자 랄프 테밍크(Ralph Temmink)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 연구원은 "1평방미터당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사한 결과, 습지는 숲보다 약 5배, 바다보다 500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습지가 탄소저장에 효과적인 이유는 서로 가까이 자라는 식물들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되기 때문이다. 줄기와 뿌리로 촘촘히 이뤄진 지상 및 지하매트는 영양분을 가둬 토양을 침식이나 건조로부터 보호하고, 식물의 성장과 토양층의 축척을 돕는다. 이 과정에서 훨씬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고지대 토탄 늪의 경우 탄소저장 과정이 약간 다르다. 표면의 살아있는 이끼층은 엄청난 양의 빗물을 머금어 스펀지 역할을 하고, 그 아래에 있는 죽은 이끼층은 수중에 잠겨있게끔 유지한다. 이는 최대 10m 두께의 토탄 하층이 건조되고 분해돼 저장된 탄소를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것을 막는다. 살아있는 이끼가 점차 쌓이면서 땅 아래 저장된 탄소 양은 계속해서 증가한다.
문제는 이런 염수·담수 습지가 농업목적의 습지배수, 벌목 등으로 파괴되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의 공동저자 브라이언 실리만(Brian R. Silliman)과 레이첼 카슨(Rachel Carson) 미국 듀크대학 해양보존생물학 교수는 "세계 습지의 약 1%가 농업과 개발, 오염이나 습지 배수로 매년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리만 교수는 "파괴된 습지들의 토양에서는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이는 매년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5%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수백년에서 수천년동안 저장됐던 탄소가 공기에 노출되면 빠르게 분해돼 온실가스를 방출하고, 그 결과 대기중으로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습지는 파괴되는 순간,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으로 바뀌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진은 아직 손실된 습지들을 되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리만 교수는 "습지를 대규모로 복원해 탄소방출을 막고 탄소저장 능력을 되돌리는 방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습지의 조성과정을 복제하고 탄소저장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습지를 대규모 복원하는 방안이 성공의 열쇠다. 실리만 교수는 습지를 성공적으로 복원하려면 습지의 탄소포집 과정이 반복되게끔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의 공동저자 티제 반 데르 하이데(Tjisse van der Heide) 네덜란드 왕립해양연구소 및 흐로닝겐대학 박사는 "모든 습지 복원 중 절반 이상이 식물이 형성되는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실패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묘목과 마개를 동일하게 정렬해 심는 것은 역효과"라며 "식물을 크고 조밀한 덩어리로 심거나, 원래의 경관 특성을 모방할 때, 또는 단순히 매우 넓은 지역을 한 번에 복구할 때 복원작업의 성공률이 훨씬 더 높다"고 설명했다.
실리만 박사는 "이 지침을 따르면 잃어버린 습지를 훨씬 더 큰 규모로 복원하고 번성시켜 습지가 탄소저장 및 생태계의 핵심으로 자리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