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경제피해 확산..."조기경보시스템 구축해야"
올 3월부터 석달째 파키스탄과 인도 서북부 지역에서는 122년 관측사상 최악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감지한 영국 국립기상청 메트오피스는 1900년부터 지금까지 기상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4~5월 기온 분석에 착수했고, 18일 그 결과를 공개했다.
메트오피스에 따르면 현재 파키스탄과 인도 일부지역에서 벌어지는 '열파현상'은 312년에 한번꼴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도는 2010년에 50℃가 넘나드는 찜통더위가 발생한 적이 있다. 폭염의 강도뿐 아니라 빈도가 잦아지고 있는 것이다. 메트오피스는 앞으로 3년마다 비슷한 규모의 열파현상이 해당 지역을 덮칠 것으로 전망하며 '기후위기'를 그 원인으로 꼽았다.
기후위기로 인한 폭염은 불평등을 확산시키고 있다. 2021년 파키스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세계 배출량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럼에도 국제기후위기 독립평가기관인 저먼워치는 파키스탄을 극한 기상이변으로 발생한 피해규모가 8번째로 큰 국가로 지목했다. 일례로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 산간지방은 수원이 모두 말라붙어 주민들은 녹슨 수도관에서 흘러나오는 오염된 물을 마시고 있다. 이 까닭에 2000여명이 콜레라에 감염됐고 6명이 숨졌다.
경제 피해도 심각하다. 지난 13일 인도 대외무역총국(DGFT)은 밀 수출을 전면 금지시켰다. 올 4월 '인도의 빵 바구니'로 불리는 펀자브 지방의 밀 수확량이 1헥타르(㏊)당 500kg이나 감소하면서 인도의 밀 가격이 20~40% 폭등한 데 따른 특단의 조치였다. 올 4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식량가격지수'는 158.5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2.1에 비해 수직상승하며 식량발 인플레이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른 피해는 지속적으로 누적될 전망이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온도와 습도 상승으로 근로시간이 줄어들면서 총 2500억달러(약 317조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2030년에 이르면 인도 국내총생산(GDP)이 4.5% 역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폭염으로 좌초자산으로 전락하는 사회기반시설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 7일 파키스탄 길기트 지역에 위치한 하사바드 다리는 파키스탄 북부 쉬스퍼 빙하가 이상고온으로 녹아내리면서 발생한 홍수로 붕괴됐다.
전문가들은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규모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책을 강구할 수 있는 '기후조기경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인도와 파키스탄 정부는 접경지역 강 수위를 비롯한 정보와 연구자료를 유엔(UN) 전문기구인 세계기상기구(WMO)와 함께 공유하며 협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WMO는 지난 3월 '세계 기상의 날'을 맞아 기후조기경보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국내 일부 지방자치단체들도 이상고온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경기도는 이달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폭염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각종 폭염 종합대책을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인명피해 우려지역 774개소를 재해 우려지역으로 지정하고, 공무원과 이·통장을 현장관리책임자로 지정해 기상특보시 위험상황을 신속히 전파, 통제와 주민대피를 시행할 예정이다. 또 41개소에 둔치주차장 침수 신속알림시스템, 하천진입 차단시설, 침수위험 지하차도 출입 자동차단시설을 설치해 모니터링과 자동 통제가 가능한 현장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