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마리 뱃속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나와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거북 10마리 가운데 8마리가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립해양과학기술원(KIOST)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연구팀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과 함께 바다거북 사체의 소화관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과 성질 등을 분석했더니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바다거북이 주로 먹은 플라스틱은 육상에서 바다로 유입된 포장재를 비롯해 어로(수산동식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하는 일) 과정에서 나오는 쓰레기들이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한국해양과학기술원·국립생태원으로 구성된 '바다거북 협력연구단'은 지난 4월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사체 34마리를 부검했다. 이 가운데 28마리의 소화관에서 플라스틱이 나왔다. 바다거북이 섭취한 플라스틱의 양은 1마리당 평균 38조각으로, 약 3g에 달했다. 주로 필름 포장재(19%), 비닐봉지(19%), 끈(18%), 그물(16%), 밧줄(11%) 등에 사용된 플라스틱이었다.

초식성 바다거북에서는 섬유형 플라스틱이 주로 검출됐고, 잡식성 바다거북에서는 필름형 플라스틱이 주로 나왔다.
홍상희 국립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바다거북 폐사체 부검 결과는 해양 플라스틱이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거북에게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해양오염의 실태를 보여준 것"이라며 "육지의 생활 쓰레기와 강이나 바다에서 조업중 버려지는 폐어구 등의 해양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바다거북은 전세계 7종이 분포돼 있다. 국제환경단체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은 바다거북을 위기등급별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7종은 장수거북, 푸른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올리브각시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캠프각시바다거북, 납작등바다거북이다.
생물다양성협약(CBD) 보고서에서는 플라스틱 섭식과 얽힘 피해를 가장 많이 받은 해양생물 6종에 붉은바다거북과 푸른바다거북을 포함하기도 했다.
해양과학기술원은 해양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부유 중대형 플라스틱 쓰레기 오염, 해양생물의 얽힘 및 섭식 영향, 플라스틱 부착 외래종 및 병원체 이동, 서식지 훼손 등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