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못사는 '죽은 물' 6등급도 11일이나 마셔
부산 시민이 지난 여름 낙동강에서 최악의 녹조가 발생한 가운데 58일간 공업용수로나 써야 할 오염수를 식수로 마신 것으로 드러났다.
4일 박재호(더불어민주당 부산 남구을) 의원실이 공개한 '물금 및 매리 취수장 주변 수질등급' 자료에 따르면 부산광역시는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서 공업용수로 쓸 것을 권고하고 있는 4등급(약간 나쁨) 이하 수질의 원수로 정수한 수돗물을 총 58일간 공급받았다. 부산 시민들은 물고기가 살 수 없는 죽은 물이라고 보는 6등급(매우 나쁨) 수돗물도 11일이나 마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이 정한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 기준을 보면 총 6등급으로 수질을 나누고 있다. 이 가운데 1~3등급까지만 생활용수(식수 포함)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나머지 4등급은 '농업용수나 고도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5등급 물은 '특수한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6등급 물은 '용존산소가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렵다'고 해설하고 있다.
박재호 의원측은 부산광역시가 최악의 녹조 상태의 낙동강 원수를 정수해서 식수로 공급할 수밖에 없는 원인을 "낙동강 원수 취수율이 90%이고, 물을 저장하는 저수시설이나 대체 상수원이 사실상 없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박 의원은 "한국수자원공사는 4등급 이하 원수를 공급하면 구입비를 탕감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부산시가 원수구입비용으로 한국수자원공사에 매년 지급하는 비용은 180억원 가량이다. 올해도 9월까지 120억 8000만원을 지급한 상태다.
부산시는 녹조 대량 발생 등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심층 취수탑 건설', '공기부상제거시설 도입', '화명정수장 중염소 도입' 등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는 '취수다변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올해 지자체 선거 이후 대구와 구미간 상상 협약이 파기되고 경남과 울산이 메가시티에서 탈퇴해 정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박 의원실의 김남원 보좌관은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맹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발견된 데 이어 계속해서 잡음이 불거지고 있음에도 소관부처가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현재 한정된 자원과 기술로 드러나지 않는 화학물질에 대한 우려도 나오기 때문에 정확한 검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먹는 물보다 중요한 민생문제는 없다. 공업용수를 먹을 수밖에 없는 부산시민의 고통은 시급하고 중요한 민생과제"라며 "장기적으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정책은 계속 추진돼야 하고, 단기적으로는 시급히 국비를 편성하여 낙동강 녹조 대응 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