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수면 33년간 9.9㎝ 상승...울릉도 가장 심각

전찬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19 18:34:53
  • -
  • +
  • 인쇄
1990년대보다 2010년대 상승속도 10% 빨라


우리나라 해수면이 지난 33년동안 약 10cm 가까이 높아졌다.

19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나라 연안에 위치한 21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89~2021년 사이에 우리나라 해수면이 평균 9.9㎝ 상승했다고 밝혔다. 해수면이 해마다 3.01mm씩 높아진 것이다.

동해안 상승폭이 연 3.53㎜로 가장 높았다. 서해안(연 3.08㎜)과 남해안(연 2.55㎜)이 그 뒤를 이었다. 모든 권역에서 1990년대보다 2010년대 해수면 상승속도가 10% 이상 빨라졌다. 1990년대에는 연 3.80㎜ 상승했던 해수면이 2010년 이후에는 연 4.27㎜로 상승했다. 

관측지점별로는 울릉도(연 5.29㎜)가 가장 높았고 뒤이어 포항, 보령, 군산, 속초 순이었다. 관측기간이 가장 오래된 목포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는 지난 62년동안 무려 15.4㎝나 상승했다. 연평균 2.49㎜씩 상승한 셈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추후 2100년까지의 고해상도 해수면 상승전망을 계산해 분석을 완료하는 대로 공식발표할 예정이다.

▲전국 연안 21개 조위관측소의 최근 33년간 해수면상승 분포도 (사진=국립해양조사원)


국립해양조사원은 유엔 산하 협의체인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6차보고서의 신규온실가스 경로(SSPs)를 적용해 우리 연안에 적합한 고해상도 해수면 상승전망을 계산하고 있다. SSPs는 미래 기후변화 대비 수준에 따라 인구, 경제, 토지이용, 에너지사용 등의 미래사회 경제상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를 적용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뜻한다.

이와 관련해 이회성 IPCC 위원장은 지난 6월 국내에서 개최된 국회기후변화포럼에 참석해 "아시아에 홍수로 인한 도시기반시설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그 원인은 극한기온발생과 강수변동성 증가"라며 "기후변화를 막지 못한다면 피해는 한국으로까지 확산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