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엔 빨간색·생선엔 녹색…먹거리에 딱지 붙였더니

전찬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8 16:54:28
  • -
  • +
  • 인쇄
美 연구팀 '기후영향라벨' 소비자 반응 조사
"저탄소 식품 선택…온실가스 절반 감축가능"


식품에 '기후영향라벨'을 붙이자 소비자가 소고기·돼지고기 등 고탄소 식품 대신 생선·채소 등 저탄소 식품을 선택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줄리아 울프슨(Julia Wolfson)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교수팀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저널에 식품 기후영향라벨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을 분석한 임상시험 결과를 게재했다. 라벨을 붙이자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식품을 선택하는 비율이 늘어났다.

연구진은 지난 4월 미국 성인 5049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집단 내 다양성을 고려해 나이·성별·인종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지 않도록 했다.

각 식품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적색(높음) 혹은 녹색(낮음)으로 표시했다. 소고기·돼지고기 등에는 적색라벨과 함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음'이라는 문구를, 생선·채소 등에는 녹색라벨과 더불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함'이라는 문구를 포함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저탄소 식품에 녹색라벨을 추가하자 아무런 표시가 없던 때보다 저탄소 식품을 선택하는 소비자 비율이 10% 늘었다. 반대로 고탄소 식품에 적색라벨을 추가하자 아무런 표시가 없던 때보다 고탄소 식품을 선택하는 소비자 비율이 23.5% 줄었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항목을 선택한 참가자는 그렇지 않은 참가자보다 자신이 더 건강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세계의 식품관련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의 31%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 소비자들은 어떤 식품이 온실가스를 덜 배출하는지 알기 어렵다. 해당 연구결과는 각 식품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소비자에게 알림으로써 친환경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는 의견에 힘을 싣는다.

연구를 주도한 줄리아 울프슨 교수는 "미국에서는 육류 소비, 특히 붉은 육류 소비는 국가 식이지침에 따른 권장수준을 지속적으로 초과하고 있다"며 "기후영향라벨을 통해 사람들의 식습관을 보다 지속가능한 식습관으로 전환하면 식품관련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55%까지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세계 지도자들, 특히 선진국 지도자들에게 지속가능하고 건강하며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식단으로의 전환을 지원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