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우울증 데이터로 가시화해 정책·투자 늘려야
청년들이 기후위기와 관련해 자신들이 마지막 세대가 될 수 있다는 불안과 무력감,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어 기후위기를 정신건강과 연관지어 바라봐야 한다는 지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6일(현지시간)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4월 7일 '세계 보건의 날'을 하루 앞둔 언론 브리핑에서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우리 행성의 거주가능성 자체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WHO는 1950년부터 매년 '세계 보건의 날'에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보건 문제를 선정하고 있다. WHO 사무총장의 이날 브리핑은 지난 2022년 세계 보건의 날 주제였던 '우리의 지구, 우리의 건강'의 연장선상에 있다.
2021년에도 WHO는 기후변화를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보건 위협'으로 규정한 바 있다. 기후변화로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면서 동·식물 사이에서만 돌던 감염병이 좁혀진 터울을 뛰어넘고 인간에게까지 종간감염을 확대시키기 때문이다.
기후변화는 또 극심한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해수면 상승이나 초강력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등을 유발하며 수많은 사상자를 낳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폭염으로 유럽에서 최소 1만5000명이 사망했고, 파키스탄은 이상기후로 전 국토의 3분의 1이 물에 잠기면서 3300만명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이번에 75번째를 맞은 세계 보건의 날 주제는 '모두를 위한 건강'이다. 전지구적인 기후위기로부터 비롯한 보건문제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기후위기의 책임은 모두에게 있지만 그 부담을 가장 크게 지는 것은 소외된 이들이다. WHO는 소외되는 이 없이 모두의 건강을 위해 분투하겠다는 의지다.
'모두를 위한 건강'은 WHO가 주관하는 영화제(HAFF·Health for All Film Festival)의 제목이기도 하다.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올해로 4번째를 맞이한 HAFF에는 106개국 800여명의 영화 제작자들이 기후위기, 코로나19, 정신건강, 말라리아, 장애, 기타 등 6개 부문의 단편영화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HAFF의 영화부문으로도 소개됐듯, 기후위기로 인해 가중된 보건위협 가운데 '정신건강' 부문을 가장 심각하게 소외된 부문으로 이야기한다. 2022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에서 처음 국제적으로 공식화됐다. 일례로 폭염은 호르몬과 중추신경에도 변화를 일으켜 치매와 범죄율까지 증가시킨다. 이상기후와 재난 속에서 겪은 트라우마로 인해 정신건강 문제가 늘어나고 있어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학계에서는 이미 10년도 더 전부터 이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2009년 세계적인 의학지 란셋(The Lancet)과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국제건강위원회 연구소의 공동논문에 따르면 21세기 국제 보건을 위협할 가장 큰 문제로 기후변화에 따른 정신건강 악화를 지목했다.
이제는 '환경불안증'(Eco-anxiety) 혹은 '기후우울증'(Climate Depression) 등의 용어로 자리잡기 시작한 정신건강 문제는 환경문제가 해결이 안되면 인류가 멸망할 것이라는 불안감에서 오는 만성적인 무력감, 식욕감퇴, 분노, 죄책감, 우울감을 가리킨다. 심한 경우 불면증이나 공황장애로까지 번지는 경우도 있다.
특히 청년 세대들이 이같은 기후불안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들이 마지막 세대일 지 모른다는 불안감, 기후변화 기여도 가장 적음에도 가장 오랜 기간 피해를 직면해야 한다는 분노감, 그럼에도 참정권이 없어 사회적 담론에서 밀려나 있다는 무력감에 떨고 있는 것이다. 2019년 미국 심리학회(APA) 설문에 따르면 18~34세 성인의 47%가 기후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일상생활에 영향을 받고 있다. 영국에서는 2018년부터 정치권이 기후위기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없으면 가족을 꾸리지 못하겠다는 여성들의 '출산파업' 운동이 진행중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9월 청소년기후행동이 주도한 '글로벌 기후파업' 현장에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더는 '다음'을 상상하기 어려워진 청년들이 쏟아져 나왔다. 2021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후변화를 피부로 느낀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42%, 성인은 19%에 달했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싱크탱크인 '이코노미스트 임팩트'(Economist Impact)는 "정신건강과 기후위기 2중의 과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목표와 시행정책이 시민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결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현재 기후위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기관이나 일부 단체에 의한 통계는 있지만, 국가 단위의 공식적인 통계기반이 없는 상황이다.
이코노미스트 임팩트는 "통계를 통해 학자, 의사, 정책 입안자들에게 이같은 문제를 가시화해야 문제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고, 문제의식이 고취돼야만 가장 취약한 이들을 위해 투자방향이 결정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