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또 대형 산불...극한가뭄에 산불 피해 '눈덩이'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8-18 17:52:22
  • -
  • +
  • 인쇄
▲캐나다 북서부 옐로나이프 인근에서 발생한 산불 (사진=연합뉴스)

캐나다에서 또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북서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도인 옐로나이프 전체 주민 2만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산불은 옐로나이프에서 서쪽으로 약 16㎞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당국이 18일 정오까지 대피를 명령하면서 엘버타주 북부에 설치된 대피소로 가려는 자동차 행렬이 끝없이 이어졌다. 

북극권에 맞닿은 노스웨스턴 준주에는 냉대림이 펼쳐져 있으며 전체 면적의 4분의 1이 삼림 지대로 분류된다. 이곳에선 현재까지 236건의 화재가 발생해 210만헥타르가 소실됐다. 이 지역에서 지난 50년간 발생한 산불 피해면적의 약 4배에 달하는 규모다.

▲산불지역을 빠져나가려는 차량행렬 (사진=연합뉴스)

캐나다는 지난 5월에도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면서 두달 넘게 숲이 불탔다. 여름철 산불이 잦은 서부지역뿐 아니라 퀘벡주, 노바스코샤주 등 동부에서도 이례적으로 산불이 발생해 이재민이 10만명 넘게 발생했다. 당시 피해면적은 우리나라 면적의 5분의4에 달했다.

캐나다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서 대기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산불 연기는 캐나다뿐만 아니라 미국까지 뒤덮으며 한때 워싱턴DC와 펜실베이니아, 뉴욕까지 대기질 경보가 발령됏다. 캐나다 산불로 대기오염에 노출된 인구가 1억명에 달할 정도다.

이처럼 캐나다는 올 산불 시즌에 3000건 이상의 산불이 발생하면서 총 17만명이 대피하고 1034만헥타르가 넘는 산림이 잿더미가 됐다.

하와이 산불과 마찬가지로, 캐나다 산불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올해 캐나다 날씨는 덥고 건조해진 상태다. 바싹 마른 나무들이 산불이 발생했을 때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대형 산불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캐나다는 산림 면적이 3억4700만㏊로, 세계 3위의 산림국이다. 이에 따라 캐나다 산림이 산불에 소실되는만큼 환경에 미치는 문제도 심각하다. 캐나다 산불은 7~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향후에도 피해가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