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흘째 확산중인 경북 의성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안동시 풍천면과 하회마을, 청송군까지 번지면서 피해가 끝없이 커지고 있다. 심지어 세계문화유산인 안동하회마을 인근까지 불길이 번지고 있다.
25일 의성 산불 현장에서는 초속 20m 강풍의 영향과 수시로 바뀌는 풍향으로 인해 진화율이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전날 낮 12시 기준 71%를 기록한 진화율은 이날 오전 9시까지 60%로 떨어졌다. 이후 진화율은 55%%, 54%로 계속 떨어지다가 오후 3시 기준 62%로 조금 올랐다. 산불 불기둥으로 인해 상승한 불똥이 강한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비화(飛火)' 현상으로 인해 산불영향구역도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경북 안동시 등에 따르면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은 이날 오후 안동시 풍천면 일대로 번지기 시작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산불은 하회마을과 직선거리로 10㎞가량 떨어진 곳까지 번지면서 안동시는 비상이 걸렸다. 현재 산불이 번지는 속도로 봤을 때 하회마을과 병산서원까지 도달하는데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안동시는 오후 3시 31분께 주민들에게 재난문자를 통해 "의성 산불이 풍천면으로 확산 중"이라며 대피명령을 내렸다.
시와 소방당국은 기존에 설치된 소방설비를 활용해 문화유산 주변에 물을 뿌려 근처 산불 현장에서 날아온 불씨가 화재로 이어지지 않도록 준비하고 있다. 또 화재 지연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후 4시 50분에는 단촌면 등운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가 산불에 의해 완전히 소실됐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곳으로, 국가보물로 지정돼 있는 천년고찰이다.
산불의 영향으로 이날 오후 3시 30분부터 서산영덕고속도로 안동분기점(JCT)∼청송교차로(IC) 구간은 양방향 통제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산불 영향으로 많은 열기·연기가 발생해 2차 사고 발생 등을 막기 위해 이날 0시 15분부터 이 고속도로의 북의성IC∼청송IC 구간만 통제했는데 산불영향 구역이 늘면서 통제구간도 확대했다.
산림 당국은 이날 주불 진화를 위해 의성군 안평면·안계면 2곳과 안동 길안면 등에 진화 헬기 77대와 인력 3708명, 진화 장비 530대 등을 투입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