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만 되면 산불로 '몸살'...해마다 피해 더 커지는 까닭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4 13:33:40
  • -
  • +
  • 인쇄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 (사진=연합뉴스)


주말 사이에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산불로 몸살을 앓고 있다.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은 나흘째 타고 있고,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도 사흘째 수습을 하지 못하는 등 봄철에 발생한 산불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대기는 건조하고 바람까지 강하게 부는 계절적 특징도 있지만 기후변화가 봄철 산불을 더욱 부추기고 있어, 맞춤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1일부터 경남·경북·충북 등지에서 발생한 산불이 빠르게 확산된 직접적인 원인은 '비화' 현상 때문이다. 비화란 불씨가 바람을 타고 다른 곳으로 날아가 옮겨붙는 현상으로 일반적인 산불보다 26배 이상 빠르게 불을 확산시킨다. 조건에 따라선 수백m 건너까지 불씨를 옮길 수 있어 산불 진화의 가장 큰 장애물이다.

봄철에는 남쪽 고기압이 시계 방향으로, 북쪽 저기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한반도에 강력한 서풍이 불어오는데, 산지를 넘으면서 건조해진 바람이 경상도와 강원도 동쪽으로 유입되면서 산불 규모가 커진 것이다. 이에 더해 험한 산세와 돌풍이 진화 작업을 방해하면서 피해를 키웠다.

기후변화도 산불을 키운 원인으로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2022년 3월 울진·삼척 대형 산불과 이번 산불의 유사한 점을 들어 겨울철 이상고온과 가뭄이 봄철 대형산불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해 5월 '대형산불의 증가, 진단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대형산불의 주요 요인으로 계절적 영향보다 기후변화 영향이 더 커졌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전에는 건조한 봄철 강원 영동지역에 부는 '양간지풍'이 대표적인 요인으로 작용해 강원도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으나, 기후변화로 인한 겨울철 이상고온과 가뭄의 영향으로 대형 산불이 전국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전까지 대형산불은 주로 3~4월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에서 주로 발생했지만, 2021년 2월 경북 산불, 2022년 강원·경남·충남 산불, 2023년 3~4월에는 경남·경북·전남·충남 등 전국 각지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겨울철 눈이 격년으로 내리는 현상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한해는 눈이 많이 내리고, 그 이듬해는 눈이 거의 내리지 않는 '기후 채찍질' 현상이다.

올 1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도 '기후 채찍질' 현상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산불이 발생한 LA 카운티는 수년간 이어진 가뭄에 이어 겨울철 폭우·폭설이 내리면서 풀과 덤불이 풍성하게 자랐다. 이후 2024년 또다시 찾아온 기록적인 폭염에 식물이 말라붙으면서 불쏘시개 역할을 한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도 지난 2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건조지역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2100년 한국 산불 위험이 100년 전인 20세기 후반보다 최대 158%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봄철마다 반복되는 대형 산불을 막기 위해서는 탄소감축·산지급수 등 기후대응이 절실하다"며 "동시에 철저한 산불 예방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울산 울주, 경남 김해, 충북 옥천 등 5개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산림 8732.6헥타르(㏊)가 잿더미가 됐다. 산불이 발생한지 3~4일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진화율은 60~70% 수준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SKT, AI로 ESG 실현…'DO THE GOOD AI' 공개

SK텔레콤이 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SKT는 ESG 경영 전반에 AI를 접목한 ESG 비전 'DO THE GOOD AI'를 27일 공개했다. SKT는 비전을 통해 AI와 ESG의

기후/환경

+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초대형 산불' 4월에 또 발생할 수 있다?…안심할 수 없는 이유

경상권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가 커진 직접적인 원인으로 '건조한 대기'와 '강풍'이 지목된 가운데, 본격적인 영농 준비가 이뤄지는 시기인데다 4월 4일

산에 불났는데 고깃배가 전소..."불씨 2㎞까지 날아갔다"

이번 산불로 75명의 사상자를 비롯해 역대급 피해가 발생한 데는 건조한 대기와 미흡한 초동대처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

강진에 폭삭 무너진 미얀마…아비규환 상황에 맨손구조 불사

규모 7.7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중부는 모든 것이 무너져 그야마로 아비규환 상태다. 매몰된 사람들을 구조할 수 있는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구조인력

산청 산불 10일만에 '꺼졌다'...213시간 34분 걸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13시간 만에 진화됐다.산림당국에 따르면 30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

"산림청이 산불 키웠다"...전문가들이 비판하는 이유는?

경상권의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산림청의 미흡한 산불 진화 체계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