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자국에 총질?"...수입폰 25% 관세에 美 소비자들 '뿔났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7 17:18:17
  • -
  • +
  • 인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스마트폰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미국 내 스마트폰 판매가 인상을 우려하는 소비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27일 미국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인 레딧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날선 비판들이 쏟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6월말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 관세는 삼성전자와 중국 화웨이, 샤오미 등 외국 스마트폰 제품뿐 아니라 자국의 기업인 애플 스마트폰 제품에도 적용된다. 애플은 중국을 비롯한 인도, 베트남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입산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 25%가 부과되면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소비자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스마트폰에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스마트폰 가격이 31%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CTA 최고경영자인 게리 샤피로 부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일갈했다.

스마트폰 관세 부과 소식이 미국 소비자들도 제품가 상승에 대한 우려에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미국 누리꾼들은 "정신 나갔나, 애플은 미국 기업이다", "왜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는지 이해도 못하는 멍청이", "결국 돌고 돌아 소비자로부터 관세를 뜯어내겠다는 거 아니냐" 등 격한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만약 미국 북부에 살고 있다면 잠깐 캐나다를 들러 새 스마트폰을 사는 게 훨씬 저렴할 것"이라며 "살다살다 우리 제품을 해외 직구로 구하게 될 줄은 몰랐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 제품에 관세 부과를 결정한 의도는 자동차와 철강 등 다른 품목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생산공장도 리쇼어링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25% 관세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관련업계에서는 트럼프의 이같은 노림수에 대해 '망상'으로 치부하고 있다. 현실성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웨드부시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한다면 복잡한 공급망과 고비용 구조로 가격이 3500달러(약 511만원)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했다. 이는 최신기종 '아이폰16프로'의 가격은 999달러(약 146만원)보다 3배 이상 높다.

이에 일각에서는 스마트폰 관세가 미국의 경쟁력 강화라는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되레 미국 기업인 애플의 부담만 늘리는 꼴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앞서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관세폭탄에 대비해 인도와 베트남 공장의 생산규모를 늘렸는데, 관세부과가 모든 수입산으로 확대되면서 헛수고를 한 셈이 됐다.

캐나다 경제학자 짐 스탠포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미국)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공격하는 멍청한 정책"이라며 "세계 최대 무역 시장인 미국을 고립시키고 있다"고 맹렬히 비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28일 정례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품목관세 파급 효과와 대응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쿠팡·마켓컬리·SSG, 6월 '녹색소비주간'에 친환경 제품 기획전

쿠팡과 마켓컬리, SSG닷컴이 6월 한달동안 환경부가 인증한 녹색제품을 한데 모아 판매하는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를 위해 환경부는 27일 오후 서울 은평

LG전자, 바다생물 되살리는 해양비료 '마린글라스' 실증사업 진행

LG전자가 해양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유리 소재의 해양비료 '마린 글라스'(Marine Glass)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서울대학교 블루카본

하나금융, 산불 피해지역 나무 기부하는 '걸음 캠페인' 진행

하나금융이 산불 피해지역에 나무를 기부하는 '걸음 기부캠페인'을 6월 30일까지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일상 속 걷기를 생활화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국민 '기업 호감도' 3년째 상승...74%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필수"

기업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호감도가 3년째 상승하고 있다. 기업은 국가경제에 기여하고 일자리를 만들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활동을 수

쿠팡, 박대준 단독대표 체재로 전환...AI 물류혁신에 '속도'

쿠팡이 강한승, 박대준 각자대표 체제에서 박대준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된다고 26일 밝혔다. 박대준 대표는 쿠팡(주)의 경영전반을 총괄하게 된다.박

일동제약 청주공장 '스마트생태공장' 된다..."온실가스 220톤 감축 기대"

일동제약이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 시행하는 '2025년도 스마트생태공장 구축사업' 대상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스마트생태공장 구축사

기후/환경

+

美 역대 최악의 더위 닥친다...기후취약 도시들 '각자도생'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인력을 대폭 삭감한 올해 전례없는 더위가 닥칠 것이라는 예보다.26일(현지시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초중고 70% "환경교육 부족"…미래세대가 바라는 환경정책은?

다가오는 기후위기를 직접 마주할 미래세대인 청소년 10명 중 7명은 환경교육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환경재단 산하 어린이환경센터는

기후변화로 '사람 잡아먹는' 곰팡이 퍼진다

매년 수백만명의 사망자를 내는 곰팡이균이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4일(현지시간) 영국 맨체스터대학 연구팀은 컴

플라스틱 조각 얼마나 먹었길래...바닷새 몸속에서 '바스락' 소리

호주에서 플라스틱 조각들이 몸속에 쌓여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나는 바닷새들이 또 발견됐다.해양 플라스틱을 연구하는 어드리프트 랩(Adrift Lab)은 23

청계천 복원 20년…'쉬리'가 돌아왔다

서울 청계천에서 2급수 이상의 깨끗한 하천에만 서식하는 '쉬리'가 발견됐다.국립중앙과학관은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실시한 조사에서 총 20종의

대선 후보 '기후공약' 첫 TV토론...탄소감축 방안 '극과극'

대통령선거 TV토론에서 처음으로 기후와 환경을 주제로 한 토론이 진행됐다.2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