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황산 칼럼] 슬픔의 노예가 되기를 거부한다
'아, 행복해!' 행복을 느끼는 순간 우린 이런 감탄사를 내뱉는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조금만 고통스러우면 이내 다르게 말한다. '괴로워', '속상해', '아, 짜증나!' 충만해 보였던 행복감은 이내 사라지고 고통 감정이 엄습한다. 이처럼 우리의 행복이나 기쁨은 일...2022-11-21 13:12:25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깨진 유리창'의 교훈
뉴욕시 구석진 곳에 한 건물이 있었다. 어느 소년이 심심풀이로 건물을 향해 돌멩이를 던졌다. 쨍 소리를 내며 창문의 유리가 깨졌다. 하루가 지났지만 그 깨진 유리창은 그대로 있었다. 그 누구도 유리를 교체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 소년은 매일 저녁 창을 향해 돌멩이를 ...2022-11-14 09:58:53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진정한 애도와 위험한 애도
애도한다. 애도의 한 방법으로 글을 쓴다. 애도의 물결에 참여하며 애도를 말한다. 핼러윈 이태원 참사로 다 피어나지 못하고 진 꽃다운 청년들에게 흰 꽃을 바친다. 지금은 애도할 때다. 아울러 우리의 애도를 고요히 성찰한다.◇ 애도 방식을 강요하지 말라우리는 애도한다....2022-11-01 15:02:41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나를 편들어주는 '한사람'만 있다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2012년 실시한 한국인 피로보고서 설문조사에서 '당신에게 피로감을 안겨다주는 피로 물질은 무엇인가?'라고 물었더니, 응답자의 42%가 '직장 상사와 동료'라고 답했다. 2위는 배우자(14%), 3위는 자녀(11%), 4위는 부모였다. 많...2022-10-24 08:01:02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평화' 만들긴 어려워도 파괴하긴 쉽다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가 거칠게 요동치고 있다. 핵전력을 동원한 한미일 군사훈련과 북한의 연속적인 미사일 발사와 포 사격으로 남북 사이, 북미 사이의 전선이 팽팽해지고 있다. 국민들은 불안해하고 있다. 이 불안의 기저 감정은 공포감이다. 예상할 수 없는 전쟁 발발의 암...2022-10-17 11:32:42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악담과 추문에 주목하는 사회...미담이 그립다
2001년 오프라 윈프리 쇼에 소개된 이야기다. 케이티(Katie)라는 소녀가 사는 집 옆에 다운증후군이 있는 지미(Jimmy)라는 아이가 살고 있었다. 지미는 태어날 때부터 말하는 것이 느리고 행동도 느리다. 소녀의 눈에 지미가 무언가 다르고 특이해 보인다. 딸이 ...2022-10-06 08:30:02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1파운드에 매각된 은행...'썩은 사과'의 교훈
'썩은 사과의 법칙'(The Law of the Bad Apple)이라는 유명한 이론이 있다. 썩은 사과 하나가 상자속 모든 사과를 썩게 하듯, 조직이나 공동체에 고약한 사람 하나가 전체를 망친다는 이론이다. "a bad/rotten apple spoils the b...2022-10-03 08:10:02 [황산]

thumbimg

"기후정의, 더 늦으면 안된다"...광화문 가득메운 3만5000명의 외침
"더는 늦으면 안된다! 기후정의 실현하자!"24일 오후 3시 서울 광화문 세종로 일대에서 열린 '924 기후정의행진'에는 나이 지긋한 노인부터 10대 청소년들까지 3만5000여명의 인파들이 모여 '기후정의'를 한 목소리로 외쳤다. 시민단체·정당&middo...2022-09-25 13:44:29 [조인준 · 황산]

thumbimg

동네마다 '기후정의행진' 준비에 '구슬땀'..."양파망으로 집회용품 만들어요"
오는 24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리는 '924 기후정의행진'을 앞두고 서울지역 공동체와 창작동아리 등의 단체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올해 '기후정의행진'은 환경보호라는 막연한 캠페인을 넘어 시민들의 실천적 행동을 요구하는만큼 참여단체들은 저마다 '기후정의'에 대한...2022-09-23 08:46:18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삼풍백화점과 인천대교의 교훈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10분경. 퇴근길에 나는 당시 삼풍백화점 모서리에 있는 벤치에 앉아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교대역으로 걸어가는 길에 잠시 머물러 한숨을 돌리며 책을 펼쳤다. 더운 날씨였다. 무심코 화단을 보았는데 화단 콘크리트 경계석이 바닥에서 ...2022-09-23 08:00:02 [황산]

thumbimg

"기후대응 이대로 안된다"...'기후정의' 외치는 사람들
현재 지구촌의 기후위기 상황은 체감할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 살인적인 폭염과 가뭄, 홍수, 산불 등의 기후재앙으로 피해를 입지 않는 나라가 없을 지경이다. 우리나라도 올초 가뭄으로 피해를 입은데 이어, 초강력 태풍 '힌남노'로 포항 등 경상남도 지역이 큰 피해를 입...2022-09-20 14:09:54 [황산]

thumbimg

[황산 칼럼] 그렇다고 대충 살아야 하나?
"우리 모두 속에 살고 있는 진정한 조나단 시걸에게"리처드 버크의 <갈매기의 꿈>은 이렇게 시작한다. 갈매기 조나단은 먹이를 찾기 위해 날아다니는 갈매기의 무리를 떠나 혼자서 비행한다. 홀로 공중에서 온갖 비행술을 연습한다. 수평비행, 공중회전, 수직 상승...2022-09-14 08:01:02 [황산]

Video

+

ESG

+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기후/환경

+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경북산불 피해 '눈덩이'...3700여채 불타고 3300명 터전 잃어

경상북도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택 3700여채가 불에 타고 주민 3300여명이 귀가하지 못하는 등 산불 피해규모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1

벌써 나타난 '빨간집모기'...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벌써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지난 27일 제3급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 주의보를 전국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