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재사용 위해 수거된 '아이스팩'...절반이 그냥 버려지는 이유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1-09-23 10:45:27
  • -
  • +
  • 인쇄
수거된 아이스팩 절반은 그냥 쓰레기로 버려
상호 새겨진 아이스팩, 소비자들 거부감 느껴


신선식품 구입하면 꼭 딸려오는 '아이스팩'.

신선식품이 상하지 말라고 아이스팩을 넣어서 배달하는데, 문제는 이 아이스팩을 처리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거다.

젤처럼 말랑말랑한 '고흡수성 수지'가 들어있는 아이스팩은 일반쓰레기로 분류되므로, 그냥 종량제봉투에 넣어서 버려야 한다. 이유는 고흡수성수지는 플라스틱 일종이다보니, 자연분해되는데 무려 500년 이상 걸리는 데다 불에 잘 타지도 않는다.

포장을 뜯어내고 알갱이 내용물을 싱크대나 하수구로 흘려 버리면 어떻게 될까?
고흡수성수지 알갱이들이 물을 흡수해 팽창하면서 관이 막혀버릴 수 있고 수질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고흡수성수지'가 자기 체적의 50~1000배까지 물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썪지도 않고 불에 잘 타지도 않는 고흡수성수지를 아이스팩에 넣는 것일까? 이는 보냉시간이 일반 얼음보다 5~7배 더 길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얼음보다 빨리 녹지 않는다는 것.

이런 아이스팩에 대한 환경오염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자,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은 아이스팩 수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한 서울 강동구청은 지난해 6월부터 연말까지 62톤의 아이스팩을 수거했다. 개수로 12만개에 이른다. 강동구청의 아이스팩 수거 프로젝트가 성공하자, 다른 지자체들도 너도나도 수거함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수거한 아이스팩을 모두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아이스팩 크기가 제각각이고, 포장재에 상호나 상품명이 인쇄돼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재활용하기 어렵다.

수거하는 아이스팩은 내용물이 고흡수성 수지여야 하고, 포장재질이 종이나 부직포이면 안된다. 또 상표나 이미지가 새겨져 있어도 안된다. 이유는 아이스팩은 주로 신선식품을 포장할때 함께 넣다보니 재사용하는 티가 나면 소비자들이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기껏 수거한 아이스팩의 절반은 다시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온라인으로 장보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는 지금, 배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뺄 수 없는 아이스팩.

하루빨리 표준규격이 정해져서 모두 재활용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기후/환경

+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경북산불 피해 '눈덩이'...3700여채 불타고 3300명 터전 잃어

경상북도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택 3700여채가 불에 타고 주민 3300여명이 귀가하지 못하는 등 산불 피해규모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1

벌써 나타난 '빨간집모기'...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벌써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지난 27일 제3급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 주의보를 전국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