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억살 넘은 지구...38억년 전부터 지각변동 일어났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2 17:22:55
  • -
  • +
  • 인쇄
남아공에서 발견된 지르콘이 '판구조론' 입증
지구 초창기 '하데스대'에서 형성된 귀한 광물


태초에 지구표면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뤄졌다는 '판 구조론'(plate tectonics)을 입증할 증거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견됐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지질학자인 나자 드라본(Nadja Drabon)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8년 남아프리카의 바버튼 그린스톤 벨트(Barberton Greenstone Belt)에서 발견한 33개의 '지르콘' 결정체를 분석한 결과, 약 41억5000만년 전에서 33억년 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21일(현지시간)  'AGU어드밴스지(AGU Advances)'를 통해 발표했다. 

'지르콘'은 지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광물이지만 지층의 나이를 알 수 있는 결정체다. 연구팀이 남아프리카에서 발견한 지르콘 결정체는 '하데스대'(hadean eon)의 것으로, 매우 희귀한 광물이다. 현재까지 지구상에서 딱 12군데, 각 장소에서 3개 이하로 발견됐다.

'하데스대'는 약 45억년전 지구의 생성초기부터 약 38억년 전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초창기 지구의 상태는 지옥과 같다는 의미에서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그리스 신화의 신 '하데스'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나자 드라본 교수는 "하데스 지구는 거대한 미스터리 상자"라고 말했다.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지르콘 결정체는 바로 이 하데스대에서 형성된 것으로, 이는 '판 구조론'의 핵심인 섭입의 증거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원시지구에서부터 존재한 이 희귀한 광물이 판 구조론이 시작된 시기를 나타내는 새로운 단서"라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된 판 구조론의 증거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 지르콘들을 분석한 결과 36억~38억년 전 전세계 여러 지역에서 안정적인 '원피층(protocrust)'이 섭입과 매우 흡사한 과정을 거쳐 변화한 것이라고 했다. 이는 판이 처음 이동하기 시작한 시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원피층은 지구 생성초기 6억년동안 안정돼 있던 맨틀이 다시 녹으면서 발생한 원시지구의 표층을 말한다. 섭입(攝入)은 지구의 지각이 서로 충돌해 한쪽이 다른 쪽의 밑으로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지각은 여러 조각으로 나뉜 단단한 판으로, 대류하는 맨틀층 위에서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지구의 핵에서 나오는 열이 이 지각을 움직이며 화산, 지진 그리고 산맥의 융기를 일으킨다.

▲남아프리카 바버튼 그린스톤 벨트에 위치한 사암으로 이뤄진 산 (사진=AGU)


과학자들은 이런 과정을 통해 지구는 약 40억년 전에서 불과 8억년 전 사이에 현대의 지각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제는 초기 지구의 지질학적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했다. 하데스대에서 남은 것이 거의 없었다. 그런데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지르콘 결정체가 그 증거가 됐다.

연구진은 "그린스톤 벨트 지르콘에 보존된 하프늄 동위원소와 미량원소는 결정화 당시 지구 상태에 대해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38억년 전 지르콘은 현대의 섭입과 유사한 압력과 용융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당시 지각이 움직이기 시작했음을 뜻하는 것이다.

드라본 교수는 "38억년에 걸쳐 지각이 불안정해지고 새로운 암석이 형성되면서 지구화학적 특징이 현대 판 구조론과 유사해지는 것을 확인했다"며 "판 구조론은 약 38억년에서 36억년 전 지구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 결과 지구적 변화가 시작됐을 것으로 봤다.

이어 드라본 교수는 "지금까지 관측된 행성 가운데 판 구조론이 관찰된 행성은 지구가 유일하며, 판 구조론이 행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게 만드는 필수조건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판 구조론'은 지구의 대기와 표면을 형성한다. 판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화산가스와 생성되는 규산염 암석은 온실가스로 인한 기온변화를 일으킨다. 드라본 교수는 이를 "일종의 온도조절기"라고 비유하며 "지각 형성 및 재순환이 없었다면 지구는 펄펄 끓는 상태와 얼어붙는 상태를 오르내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초의 지구에 대한 기록은 매우 적지만, 지구의 여러 장소에서 비슷한 변화가 관측되면서 지각변동이 전지구적으로 일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며  "지구에서 일종의 재편성이 일어나고 있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화석연료 기업들 배출한 온실가스...30년간 28조달러 폭염피해 유발

지난 30년동안 전세계 화석연료 기업들로 인한 폭염 피해가 28조달러(약 4경185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미국 스탠퍼드대 크리스토퍼 캘러핸 박사와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