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억살 넘은 지구...38억년 전부터 지각변동 일어났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2 17:22:55
  • -
  • +
  • 인쇄
남아공에서 발견된 지르콘이 '판구조론' 입증
지구 초창기 '하데스대'에서 형성된 귀한 광물


태초에 지구표면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뤄졌다는 '판 구조론'(plate tectonics)을 입증할 증거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견됐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지질학자인 나자 드라본(Nadja Drabon)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8년 남아프리카의 바버튼 그린스톤 벨트(Barberton Greenstone Belt)에서 발견한 33개의 '지르콘' 결정체를 분석한 결과, 약 41억5000만년 전에서 33억년 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21일(현지시간)  'AGU어드밴스지(AGU Advances)'를 통해 발표했다. 

'지르콘'은 지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광물이지만 지층의 나이를 알 수 있는 결정체다. 연구팀이 남아프리카에서 발견한 지르콘 결정체는 '하데스대'(hadean eon)의 것으로, 매우 희귀한 광물이다. 현재까지 지구상에서 딱 12군데, 각 장소에서 3개 이하로 발견됐다.

'하데스대'는 약 45억년전 지구의 생성초기부터 약 38억년 전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초창기 지구의 상태는 지옥과 같다는 의미에서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그리스 신화의 신 '하데스'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나자 드라본 교수는 "하데스 지구는 거대한 미스터리 상자"라고 말했다.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지르콘 결정체는 바로 이 하데스대에서 형성된 것으로, 이는 '판 구조론'의 핵심인 섭입의 증거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원시지구에서부터 존재한 이 희귀한 광물이 판 구조론이 시작된 시기를 나타내는 새로운 단서"라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된 판 구조론의 증거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 지르콘들을 분석한 결과 36억~38억년 전 전세계 여러 지역에서 안정적인 '원피층(protocrust)'이 섭입과 매우 흡사한 과정을 거쳐 변화한 것이라고 했다. 이는 판이 처음 이동하기 시작한 시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원피층은 지구 생성초기 6억년동안 안정돼 있던 맨틀이 다시 녹으면서 발생한 원시지구의 표층을 말한다. 섭입(攝入)은 지구의 지각이 서로 충돌해 한쪽이 다른 쪽의 밑으로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지각은 여러 조각으로 나뉜 단단한 판으로, 대류하는 맨틀층 위에서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지구의 핵에서 나오는 열이 이 지각을 움직이며 화산, 지진 그리고 산맥의 융기를 일으킨다.

▲남아프리카 바버튼 그린스톤 벨트에 위치한 사암으로 이뤄진 산 (사진=AGU)


과학자들은 이런 과정을 통해 지구는 약 40억년 전에서 불과 8억년 전 사이에 현대의 지각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제는 초기 지구의 지질학적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했다. 하데스대에서 남은 것이 거의 없었다. 그런데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지르콘 결정체가 그 증거가 됐다.

연구진은 "그린스톤 벨트 지르콘에 보존된 하프늄 동위원소와 미량원소는 결정화 당시 지구 상태에 대해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38억년 전 지르콘은 현대의 섭입과 유사한 압력과 용융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당시 지각이 움직이기 시작했음을 뜻하는 것이다.

드라본 교수는 "38억년에 걸쳐 지각이 불안정해지고 새로운 암석이 형성되면서 지구화학적 특징이 현대 판 구조론과 유사해지는 것을 확인했다"며 "판 구조론은 약 38억년에서 36억년 전 지구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 결과 지구적 변화가 시작됐을 것으로 봤다.

이어 드라본 교수는 "지금까지 관측된 행성 가운데 판 구조론이 관찰된 행성은 지구가 유일하며, 판 구조론이 행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게 만드는 필수조건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판 구조론'은 지구의 대기와 표면을 형성한다. 판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화산가스와 생성되는 규산염 암석은 온실가스로 인한 기온변화를 일으킨다. 드라본 교수는 이를 "일종의 온도조절기"라고 비유하며 "지각 형성 및 재순환이 없었다면 지구는 펄펄 끓는 상태와 얼어붙는 상태를 오르내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초의 지구에 대한 기록은 매우 적지만, 지구의 여러 장소에서 비슷한 변화가 관측되면서 지각변동이 전지구적으로 일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며  "지구에서 일종의 재편성이 일어나고 있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이지웰, 글로벌ESG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 인증획득

현대이지웰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을 인증하는 '브론즈' 메달을 받았다.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기후/환경

+

북극 '오존 파괴의 비밀' 풀었다...얼음 속 '브롬 가스'가 단서

얼음이 얼 때 발생하는 브롬가스가 북극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밝혀졌다.극지연구소는 북극 대기 경계층의 오존을 파괴하는 '브롬 가스'의 새로

'가뭄에 단비' 내리는 강릉...저수율 16.7%로 상승

지난 주말 내린 비로 최악의 사태는 피해간 강릉에 또 비가 내리면서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7일 오전 6시 기준 16.7%로 전일보다 0.1%포인트(p) 높아졌다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