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 스타베이스 확장, 멸종위기종 '피리물떼새' 서식지 파괴된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5-04 16:07:46
  • -
  • +
  • 인쇄
미 어류야생동물관리국(FWS), 멸종위기종 피해완화 조치 요구
최종 승인책임은 미 연방항공국(FAA)에 달려있어
▲미국 멸종위기종인 피리물떼새. 스페이스X의 텍사스 스타베이스 사업이 강행될 경우 피리물떼세의 서식지가 피해를 입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사진=언스플래쉬)

미국 항공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텍사스 스타베이스 확장계획이 멸종위기종의 생존에 해를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미국 CNBC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어류야생동물관리국(FWS)은 최근 스페이스X에서 사우스텍사스 시설을 가동하면서 멸종위기종인 피리물떼새(piping plover)가 감소하고 있다는 내용의 문서를 공개했다.

스페이스X는 텍사스 주 보카치카에서 자사의 스타쉽 슈퍼헤비리프트발사체 테스트 및 상업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2021년 9월 스페이스X는 미국 연방항공국(FAA)에 텍사스주 브라운스빌과 사우스 파드레 아일랜드에 새로운 시설을 건설하고 더 큰 스타쉽 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허가해 달라고 요청했다. 기업 측은 FAA으로부터 발사대 냉각용 시스템 및 저수시설을 포함한 새로운 발사대, 착륙대, 발전소, 천연가스 처리시설 및 수자원 인프라 건설 허가를 요구했다.

문제는 해당 시설 주변이 야생동물보호구역이라는 것이다. FWS는 스페이스X가 텍사스 사업을 강행할 경우 멸종위기종법에 따라 보호되는 일부 종과 주요 서식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약 366만㎡의 피리물떼새 서식지가 시설을 둘러싸고 있으며, FAA가 스페이스X의 활동을 허가할 경우 그 중 절반에 가까운 180만㎡ 규모의 서식지가 손실된다는 것이다.

가장 큰 우려사항은 피리물떼새, 붉은가슴도요, 재규어런디 및 오셀롯 개체군의 짝짓기, 이동, 건강 및 서식지에 미칠 영향이다. FWS는 일반 차량통행에서부터 건설, 로켓시험, 발사에 따른 소음, 열, 폭발, 이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의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여러 종의 바다거북도 관심대상이다. 그 중 하나는 보카치카해변에 서식하는 켐프각시바다거북(Kemp’s Ridley sea turtle)으로,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다. FWS 측에서는 해양생물 문제의 경우 관련 전문지식의 필요성을 고려해 미국 해양대기청에 맡겼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X는 보카치카에서 시설건설 및 발사승인을 받으려면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과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FWS는 기업에서 대상 동물개체군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하고, 건설과 발사활동을 특정 계절 또는 주야간 시간으로 제한하며, 셔틀을 사용해 현장근로자들의 차량통행을 줄이기를 권고했다. 또 미국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제왕나비에 미칠 영향도 추가로 연구할 것을 장려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FWS의 의견이 오히려 스페이스X에 좋은 소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다. 재러드 마골리스(Jared Margolis) 생물다양성센터 선임변호사는 BCO 초안에 관해 "FWS는 스페이스X의 지출, 보존, 그리고 기타 약속을 거의 요구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그는 "FWS는 야생동물에 미치는 보카치카 시설의 유해성에도 불구하고 허용범위를 더 넓히려 고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골리스 변호사는 FWS가 스페이스X로 하여금 매년 오셀롯보존단체에 5000달러 정도의 소액만 기부하도록 요구한 점을 지적하며 정작 보존과 관련된 명확한 공약은 스페이스X에게 요청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 그는 대부분의 요청이 권고사항에 불과하며, 최종 FAA 허가조건에 따라 집행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스페이스X의 텍사스 사업에 대한 최종 승인 및 감독 책임은 결국 FAA에 있다. 기업의 사업확장 및 발사 여부는 FAA의 승인에 달려 있는 것이다. FAA 측에서는 허가를 내리기 전 다른 연방 및 주 기관과 지역환경전문가의 연구를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이스X 사업의 멸종위기종법 위반여부를 두고 FWS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문서에 따르면 현재 스페이스X는 발사장에 위치한 유틸리티 규모의 천연가스 발전소에서 생산할 에너지의 양을 줄이고 있다. 또 지난 2월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는 텍사스의 규제가 극복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스타쉽 발사활동을 플로리다주로 옮기고 보카치카우주공항을 연구개발(R&D) 캠퍼스로 전환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카카오' 사용한다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카카오가 사용된다.롯데웰푸드는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가나산 카카오

기후/환경

+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5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