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차원 높은 수준의 전지구적 대응 필요"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험이자 전지구적 대책이 시급한 분야는 다름아닌 '기후변화'로 지목됐다.
세계경제포럼(WEF)이 11일(현지시간) 발간한 '글로벌 위험 보고서 2023'은 앞으로 10년동안 인류에게 닥칠 위기요인 중 1~4위를 기후위기와 관련된 내용으로 적시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9월 7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세계 정부·기업·학계·국제기구·시민사회 소속 전문가 1200여명을 상대로 글로벌 위험 인식을 조사한 결과가 담겼다.
1위부터 순서대로 '기후변화 완화 실패'(Failure to mitigate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적응 실패'(Failur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자연재해와 극단적 기상현상'(Natural disasters and extreme weather events),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Biodiversity loss and ecosystem collapse)다.
전문가 집단은 민간부문 54%, 정부 14%, 학계 13%, 국제기구 11%, 비정부기구(NGO) 9%로 구성됐다. 지역별로는 유럽 36%, 동아시아와 태평양 국가들 14%, 북미 13%,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12%,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11%, 중동과 북아프리카 6%, 남아시아 5%, 중앙아시아 2%다.
지난해 다보스포럼 보고서에서도 기후위기는 주된 위험으로 꼽힌 바 있다. 1~3위가 순서대로 '기후행동 실패', '극단적인 날씨', '생물 다양성 손실'이었다.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기후변화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추가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보다 한차원 높은 수준의 기후위기 관련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기후변화는 단순히 기온이나 날씨에 국한된 사항이 아니라 자연재해·생물 다양성 손실·생태계 붕괴 등의 문제들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EU의 '리파워EU'(REPowerEU) 등 다양한 정책이 바탕이 돼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고 있지만 이들 정책만으로는 기후변화를 막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지난해 이집트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7)에 대해서는 "모든 화석연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기 위한 충분한 수준의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이로 인해 "홍수·폭염·가뭄과 기타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더 심각하고 빈번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기후위기에 대한 전지구적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우리는 과연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던지고 "국제협력은 100년 전에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었던 수준으로 발전했다. 글로벌 협력을 통해 기후위기를 비롯한 전지구적 문제에 대한 준비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