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낙동강' 쌀에서도 '발암물질'...청산가리 6600배 독성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13 10:17:28
  • -
  • +
  • 인쇄
낙동강·영산강 녹조 우심 지역 재배한 쌀 분석
발암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검출...'기준치 5배'
▲지난해 낙동강 창녕함안보 녹조 (사진=연합뉴스)

녹조로 오염된 낙동강 인근에서 재배된 쌀에서 기준치의 5배가 넘는 독성물질이 검출됐다. 

13일 환경운동연합은 낙동강·영산강 녹조 우심 지역 주변에서 구입한 쌀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쌀에서 남세균(녹조, 시아노박테리아)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유해 남세균이 내뿜는 대표적인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은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발암물질이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이지영 교수는 마이크로시스틴(MC-LR) 독성이 청산가리(시안화칼륨)보다 6600배 높다고 밝힌 바 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또 생식 독성까지 유발하다는 점이 드러나 최근 미국, 프랑스 등지에서 관련 가이드라인을 매우 엄격하게 강화하고 있다.

이번 쌀 축적 마이크로시스틴은 1차 액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질량분석법(LC-MS/MS)으로 마이크로시스틴 6종을 분석했고, 2차 효소면역측정법(ELISA kit)으로 마이크로시스틴 270여 종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주관은 국립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이 맡아서 진행했다.

분석 결과, 낙동강·영산강 인근에서 수확한 쌀에서 프랑스 가이드라인이 제시한 기준치의 최대 5배가량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지난해에도 낙동강에서 쌀·배추·무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바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낙동강·영산강 녹조 우심 지역 주변 논에서 구입한 쌀을 분석한 것으로, 주로 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환경운동연합은 "국민 먹거리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면서 "지난해부터 국민건강과 안전 관점에서 낙동강 녹조 문제 전반에 대해서 공동 조사를 정부에 요구해 왔으나, 정부는 이를 계속 외면하고 있다"며 정부가 관련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기후/환경

+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올 7월 한반도 평균기온 27.1℃...'역대 두번째로 더웠다'

우리나라의 올 7월은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더웠다.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나타났다. '20세기 최악의 더위'가 나타난

[날씨] '폭염과 폭우' 급변하는 날씨...6일 120㎜ 폭우 예보

5일 낮기온이 36℃까지 치솟는 폭염이었다가 수요일인 6일은 최대 120㎜의 폭우가 퍼붓는 종잡을 수 없는 날씨를 보이겠다.고온다습한 남풍의 유입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