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로드킬' 1년새 72% 증가...국립공원도 안전지대 아니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0-10 15:57:54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찻길 사고로 죽은 동물 6만3989마리 가운데 국립공원에서 로드킬로 죽거나 다친 야생동물이 350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이 다수 포함돼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14일 국토교통부와 국립생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동물 로드킬 사고는 15만4566건에 달했다. 게다가 로드킬 사고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로, 지난해는 전년대비 71.7% 급증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국립공원공단으로부터 제출받아 지난 8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립공원에서 로드킬로 죽거나 다친 야생동물은 최근 5년간 2013마리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8년 383건, 2019년 462건, 2020년 294건, 2021년 322건, 2022년 350건으로 줄어들지 않고 있다. 올 8월까지 집계된 로드킬 건수도 202건으로, 지난해의 73%가 넘었다.

문제는 법정보호종들이 로드킬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법정보호종 로드킬 사고는 591건으로 전년의 425건보다 늘었다. 멸종위기 1급이 삵이 330건으로 가장 피해가 많았고, 멸종위기 1급인 수달과 2급인 수리부엉이도 각각 148건, 29건에 달했다. 팔색조와 남생이, 산양도 로드킬을 당한 사례도 나왔다. 동물들의 울타리 역할을 해주고 있는 국립공원 내에서도 수달과 담비같은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이 로드킬 당하는 사례도 지난 2021년에만 46건이 있었다. 

동물들의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서는 야생동물 유도울타리나 이동통로를 설치해줘야 하지만 정부의 늑장대응으로 관련 시설이 태부족인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로드킬 발생 상위 80개 도로 구간에 이같은 시설을 설치하겠다고 했지만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국립공원의 상황도 비슷하다. 전국 21개 국립공원 가운데 생태통로가 있는 곳은 8개소에 불과했다. 더욱이 전체 찻길사고의 약 40%에 달하는 395건이 생태통로가 없는 내장산 등 13개 공원에서 발생했다. 국립공원 중 로드킬이 2번째로 많은 '한려해상공원'에는 안내표지판 6개만 설치돼 있으며, 45건의 로드킬이 있었던 '다도해공원'에는 과속방지턱만 있다.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은 "우리에게는 죽거나 다친 야생동물에 대한 구조와 보호 의무가 있다"며 "생태탐방로 등 인간의 행위로부터 야생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과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미래세대 위한 친환경 에너지교육 지원 확대

코오롱그룹이 미래세대의 친환경 에너지 교육지원에 적극 나선다. 코오롱은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의 '다함께 나눔프로젝트'에 참여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기후/환경

+

한반도와 美서부 '강수 빈도' 증가한다...이유는?

지구온난화로 남극 기온이 상승하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와 미국 서부에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미국 코넬대학 연구팀

지구 4℃ 상승하면...전세계 인구 40% 빈곤해진다

지구 온도가 4℃ 상승하면 지구 인구의 40%가 빈곤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1일(현지시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 기후위험대응연구소의 티모시

산불 커질만 했네…3월 한반도 기온·풍속 모두 이례적

의성, 안동, 산청 등 영남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빠르게 확산됐던 지난달 우리나라는 이상고온과 이상건조, 이례적 강풍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5℃ 기후목표에 매몰되면 농경지 12.8% 감소할 것"

1.5℃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전세계 정책이 전세계 농경지 면적을 약 12.8% 줄이는 결과를 초래해 식량 위기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