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간 탄소농도 분석했더니...지구온도 이미 1.49℃까지 상승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1-12 17:00:27
  • -
  • +
  • 인쇄

인간이 유발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1700년대부터 지난해말까지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폭이 이미 약 1.5℃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1일(현지시간) 영국 랭커스터대학 앤드루 자비스 교수팀은 남극 빙핵을 통해 2000년간의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난화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온난화 임계점인 1.5℃에 근접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전세계 각국은 지난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지구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제한하기로 약속했다. 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산업화 이전 기준' 조건으로 1850~1900년 데이터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1850~1900년 이전부터 증가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기준 1.5℃로 억제하는 노력을 평가하려면 더 타당한 기준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남극 빙핵 기록을 지구 온도 이상 데이터(temperature anomaly data)와 결합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와 지구 표면온도 사이의 관계를 재평가하고 분석기간은 과거 2000년 전까지로 확장했다.

남극 빙핵 속에는 얼음이 형성될 때의 공기가 기포 형태로 포함돼 있다. 수천년간의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 데이터가 담겨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먼저 1850년~2023년까지 데이터를 분석,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와 기온 상승 사이에는 선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는 것에 비례해 기온도 상승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1850년 이후 다른 요인들이 기온 변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후 확인된 이산화탄소와 기온 상승간 선형 관계는 인간이 얼마나 많은 온난화를 초래했는지 평가하는 데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선형 관계를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약 280ppm이었던 서기 13~1700년에 적용해 온난화를 추정한 결과, 2023년말 온난화가 이미 지구온도 임계점인 1.49℃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는 기온이 파리협정 한계에 거의 도달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 1850~1900년을 기준선으로 사용하는 것은 당시 기온 관측의 불확실성과 이미 진행되고 있던 온난화를 고려하면 부정확할 수 있다며 이 연구의 온난화 추정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 것보다 정확성이 최고 30% 이상 높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 접근 방식이 온난화가 대기중 이산화탄소 이외 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직접 정량화하지는 않지만 선형 관계 속에 이런 요인도 통합돼 있다"며 "이 관계가 온난화에 따른 기후시스템 변화를 추적하는 데 중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기후/환경

+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