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백신 접종 정책이 다른 것도 불안 요소

AP통신이 올해 또다시 도쿄올림픽이 연기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일본 내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우려가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달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우리 임무는 올림픽을 기획하는 것이지 취소하는 게 아니다"며 강행 의지를 밝혔다. 도쿄올림픽이 그대로 강행된다면 코로나19 시대에 열리는 첫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된다. IOC는 원활한 진행과 위험 관리를 위한 '플레이북'을 내놓았다. 플레이북은 국제경기연맹 관계자, 선수와 임원, 언론인, 방송인을 대상으로 총 네 종류로 구성돼 있다.
일례로 선수를 대상으로 한 플레이북을 보면, 선수들은 도쿄에 도착하기 72시간 전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받아야 한다. 도쿄에 도착한 선수는 곧장 검사를 한번 더 받고, 일본에 머무는 동안 정기적으로 추가 검진을 받는다. 개막식과 폐막식에 참여할 수 있는 선수 인원이 제한되며, 가까이 접촉했던 인원들의 명단을 작성해야 한다. 또 다른 경기장의 관중으로 참여하거나 관광지, 상점, 레스토랑, 술집, 체육관 방문은 불가능하다.
IOC는 일본 정부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접촉 확인 앱 '코코아'(COCOA)를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플레이북에 따르면 선수들은 일본으로 여행하기 14일 전부터 이 앱을 다운받아 체온을 기록하고 개인 건강 상태를 보고해야 한다. 이때 제공된 정보는 일본 보건당국과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그리고 각 선수 별 연락 담당자에게 공유된다.

이러한 당국의 방침에도 불구하고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일본의 백신 접종 상황을 감안할 때 올림픽이 예정된 7월까지 도쿄 인구조차 모두 백신을 맞을 수 있을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일본은 확진자가 40만명을 넘어섰고, 65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왔다. 그럼에도 일본은 2월 17일에 들어서야 첫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이는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주요 국가들에 비해 수개월 늦다. 게다가 일본의 백신 접종 속도도 느리다. 일본보다 9일 늦은 2월 26일 접종을 시작한 우리나라는 3일 기준 8만7428명으로 3만4772명을 접종한 일본을 제쳤다.
따라서 이런 추세로는 7월 도쿄올림픽 개막 전까지 도쿄 인구 대부분을 접종시키기란 어려울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더군다나 올림픽 기간중에는 도쿄 시민 뿐 아니라 일본 국내 여행객과 세계 200여개국의 관광객이 몰려들어 상황은 최악으로 치달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요미우리신문 여론 조사 결과 일본 국민 44%는 도쿄올림픽이 개최된다 해도 '무관중'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는 이 문제에 대해 3일부터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한다. 아직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관중을 제한해야 할지 정해진 사항은 없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의는 이달말까지 관중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관중 문제가 해결된다고 하더라도 선수들의 백신 접종에 대해 국가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도 문제다. 이스라엘의 경우 5월 전까지 모든 선수들의 접종을 끝내기로 한 반면 이탈리아올림픽위원회는 젊은 선수보다 노인층부터 백신 접종을 받을 '신성한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 그리스와 헝가리는 올림픽 위원회에서 백신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있지만, 개막전까지 모든 선수를 접종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은 주마다 다른 법안이 발목을 잡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진 접종이 끝나면 5월께 국가대표 선수들의 1차 접종이 이뤄지도록 대한체육회, 정부, 방역당국 간 협의가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3·1절 기념식 담화에서 "도쿄올림픽이 한일간, 남북간, 북일간, 그리고 북미간 대화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성공 개최를 위해 일본 정부와 협력할 것"이라며 도쿄올림픽 개최에 힘을 보탰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