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꽃이 커지고 있다...원인은 '기후변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19 10:00:02
  • -
  • +
  • 인쇄
수분매개자를 많이 유인하기 위한 변화
꿀과 꽃가루도 증가...개화도 4일 빨라져
▲미국 미시간대학 연구진이 2003~2012년에 채취한 나팔꽃을 발아시켜 관찰한 결과, 꽃의 크기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미시간대학)

미국의 나팔꽃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꽃 크기를 키운 것으로 관찰됐다.

미국 미시간대학·조지아대학 연구진은 2003년~2012년에 미국 남동부에서 자생하는 야생 나팔꽃을 채취해 발아시켜본 결과, 꽃의 크기가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개화 시기를 앞당겨지고 꿀과 꽃가루의 함량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식물들이 기후변화로 줄어든 수분매개자를 더 많이 유인하기 위해 꽃 크기를 키운 것으로 분석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같은 진화적 반응은 북위도 식물에서 더 두드러지게 보였다.

연구진은 2003~2012년 테네시와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농경지 인근에서 채취한 나팔꽃 15종의 씨앗을 발아시켜 꽃의 크기를 측정했다. 이 기간동안 해당 지역은 기온 상승, 특히 최저기온 및 야간기온의 상승을 경험했으며 가뭄과 폭우 강도가 증가했다.

측정 결과, 나팔꽃 화관은 2003년 직경 4.5cm, 2012년 4.8cm로 9년에 걸쳐 상당히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지역이 북위도일수록 화관 너비의 크기는 더 커졌다.

또 나팔꽃 23종의 개화 시기를 조사한 결과 2003~2012년 사이 북위도 개체군을 중심으로 개화가 앞당겨지는 현상이 관찰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2012년 채취한 씨앗에서 자란 개체는 개화가 평균 4일 일찍 시작됐다.

수분매개자가 꽃에서 얻을 수 있는 꿀과 꽃가루 함량도 증가했다. 연구진은 평균적으로 2012년에 채취한 씨앗에서 자란 나팔꽃이 2003년도 나팔꽃보다 꽃가루 및 꿀을 더 많이 생산했다고 밝혔다. 다만 꽃가루·꿀의 경우 나팔꽃 식물군 중 4종만을 대상으로 조사해 적응변화의 증거로 속단하기에는 이르다.

연구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변화 및 그로 인한 수분매개자의 감소에 따라 북위도 개체군을 중심으로 식물과 수분매개자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형질이 변화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이볼루션레터스(Evolution Letters)'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